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2쪽

태화당 2019. 12. 25. 11:53

翰林】 ①翰林院 唐代以來歷代王朝所置的官廳之一 按唐會要五十七 翰林院開元(713-741)初置 本在銀臺門內 麟德殿西廂重廊之後 蓋天下以藝能技術見召者之所處也 學士院者 開元二十六年之所置 在翰林之南 別戶東向 禪門拈頌集第四九二則 慈受頌 海水有時終見底 人生到死不知心 秀才若會翻身句 管取白衣入翰林 皇帝的文學侍從官 唐朝以後始設 明淸改從進士中選拔 [百度漢語] 參翰林院 禪林寶訓合註二 宋楊億 字大年 建州蒲城人 諡文正公 官至翰林

한림(翰林) 한림원(翰林院)이니 당대 이래 역대 왕조에서 설치한 바의 관청의 하나. 당회요57을 안험컨대 한림원은 개원(713-741)초에 설치했으며 본래 은대문(銀臺門) , 인덕전(麟德殿) 서상중랑(西廂重廊; 은 곁채)의 뒤에 있었음. 대개 천하에서 예능과 기술로 현소(見召; 부름에 알현)하는 자의 소처(所處). 학사원(學士院)이란 것은 개원 26년에 설치한 곳이며 한림의 남쪽에 있고 별호(別戶)는 동향임. 선문염송집 제492. 자수가 송하되 해수(海水)는 어떤 때 마침내 바닥을 보이지만/ 인생은 죽음에 이르러도 마음을 알지 못한다/ 수재(秀才)가 만약 번신구(翻身句)를 알았다면/ 백의로 한림(翰林)에 듦을 관취(管取; 보증)하리라. 황제의 문학시종관(文學侍從官)이니 당조(唐朝) 이후에 비로소 설치했음. 명ㆍ청에선 진사(進士) 가운데로부터 고쳐서 선발했음 [백도한어]. 한림원을 참조하라. 선림보훈합주2. () 양억(楊億)은 자가 대년(大年)이며 건주 포성 사람이다. 시호가 문정공이며 벼슬이 한림(翰林)에 이르렀다.


翰林國史院元代掌管草擬詔令 纂修國史 兼備皇帝咨詢的中央機構 前身是唐朝玄宗開元初年設立的翰林院 開元二十六年(738) 另建翰林學士院 宋沿唐制 設翰林學士院 多數宰相從中選拔 [百度百科] 海印(昭如)禪師三會語序 延祐四年(1317)七月 日 翰林國史院編脩宮 曾巽申序

한림국사원(翰林國史院) 원대(元代) 조령(詔令)의 초의(草擬; 起草)를 장관했으며 국사를 찬수(纂修)하고 겸하여 황제의 자순(咨詢)에 대비하는 중앙기구였음. 전신(前身)은 이 당조(唐朝) 현종 개원 초년에 설립한 한림원이니 개원 26(738) 따로 한림학사원을 건립했음. 송은 당제(唐制)를 따라 한림학사원을 설립했으며 다수의 재상, 가운데로부터 선발했음 [백도백과]. 해인(소여)선사 삼회어서(三會語序). 연우 4(131 7) 7월 일 한림국사원(翰林國史院) 편수관 증손신 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