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3쪽

태화당 2019. 12. 25. 11:54

翰林院翰林院從唐朝開始設立 初時爲供職具有藝能人士的機構 自唐玄宗後 翰林分爲兩種 一種是翰林學士 供職於翰林學士院 一種是翰林供奉 供職於翰林院 翰林學士擔當起草詔書的職責 翰林供奉則無甚實權 晚唐以後 翰林學士院演變成了專門起草機密詔制的重要機構 有天子私人之稱 在院任職與曾經任職者 被稱爲翰林官 簡稱翰林 宋朝後成爲正式官職 並與科擧接軌 明以後被內閣等代替 成爲養才儲望之所 負責修書撰史 起草詔書 爲皇室成員侍讀 擔任科擧考官等 地位淸貴 是成爲閣老重臣以至地方官員的踏脚石 [百度百科] 祖庭事苑四 玉堂 翰林院也 在禁中 乃人主燕居之所 承明 金鑾殿 皆在其間 應供奉之人 學士已下 工伎 群官 司隷 籍其間者 皆稱翰林

한림원(翰林院) 한림원은 당조(唐朝)로부터 개시(開始)하여 설립했고 초시(初時)엔 예능을 갖추고 있는 인사를 공직(供職; 任職)하는 기구가 되었음. 당현종 후로부터 한림을 양종(兩種)으로 분류했음. 1()은 이 한림학사(翰林學士)며 한림학사원에 공직(供職)했고 1종은 이 한림공봉(翰林供奉)이니 한림원에 공직(供職)했음. 한림학사는 조서(詔書)의 기초(起草)를 담당하는 직책이었고 한림공봉(翰林供奉)은 곧 심한 실권이 없었음. 만당(晚唐) 이후 한림학사원은 연변(演變; 변화하고 발전)하여 기밀조제(機密詔制)를 전문으로 기초(起草)하는 중요한 기구가 되었고 천자사인(天子私人)이란 명칭이 있었음. 재원(在院)하며 임직(任職)함과 일찍이 임직을 경력한 자는 피칭(被稱)하여 한림관(翰林官)이라 했으며 간칭이 한림임. 송조(宋朝) 후 정식관직이 되었고 아울러 과거(科擧)와 접궤(接軌)했음. () 이후엔 내각(內閣) 등으로 대체(代替)함을 입었고 양재저망(養才儲望)의 장소가 되었으며 수서찬사(修書撰史)와 기초조서(起草詔書; 조서를 기초함)를 부책(負責)했음. 황실의 성원시독(成員侍讀)이 되었고 과거고관(科擧考官) 등을 담임했음. 지위가 청귀(淸貴)했고 이는 각로중신(閣老重臣) 이지(以至; 내지) 지방관원이 되는 답각석(踏脚石)이었음 [백도백과]. 조정사원4. 옥당(玉堂) 한림원(翰林院)이니 금중(禁中; 宮中). 곧 인주(人主)가 연거(燕居; 은 편안할 연. 쉴 연)하는 장소임. 승명전(承明殿)과 금란전(金鑾殿)이 다 그 사이에 있음. 공봉(供奉)에 응하는 사람과 학사 이하의 공기(工伎)ㆍ군관(群官)ㆍ사례(司隷)와 그 사이에 기록()된 자는 다 한림이라 일컬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