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4쪽

태화당 2019. 12. 25. 11:54

翰林醫官宋代醫官階官名 高宗紹興(1131-1162)時 於原醫官十四階 續增八階 翰林醫官爲第十五階 [百度百科] 禪林僧寶傳二十六圓通秀 元祐五年(1090)八月臥疾 詔翰林醫官視之

한림의관(翰林醫官) 송대 의관(醫官)의 계관(階官) 이름. 고종 소흥(1131- 1162) 시 원래의 의관 14()8계를 속증(續增)했는데 한림의관은 제15계가 됨 [백도백과]. 선림승보전26 원통수. 원우 5(1090) 8월 와질(臥疾)하자 한림의관(翰林醫官)에게 조칙하여 그것을 살피게 했다.

) --> 

翰林學士官名 學士始設於南北朝 唐初常以名儒學士起草詔令而無名號 唐玄宗時 翰林學士成爲皇帝心腹 常常能升爲宰相 北宋翰林學士承唐制 仍掌制誥 此後地位漸低 然相沿至明淸 拜相者一般皆爲翰林學士之職 淸以翰林掌院學士爲翰林院長官 無單稱翰林學士官 [百度百科] 續燈錄二十黃龍智明 翰林學士張公啇英請師出世

한림학사(翰林學士) 벼슬 이름. 학사는 남북조에 처음 설치했고 당초(唐初)에 늘 명유학사(名儒學士)로 조령(詔令)을 기초(起草)하게 했으나 명호(名號)가 없었음. 당현종 시 한림학사는 황제의 심복이 되었고 늘 항상 능히 승진하여 재상이 되었음. 북송의 한림학사는 당제(唐制)를 계승해 그대로 제고(制誥)를 관장했음. 차후(此後)로 지위가 점차 낮아졌음. 그러나 상연(相沿)하여 명ㆍ청에 이르렀고 배상(拜相)하는 자는 일반으로 모두 한림학사의 관직이 되었음. ()은 한림장원학사(翰林掌院學士)를 한림원장관으로 삼았고 단칭(單稱)의 한림학사관(翰林學士官)이 없었음 [백도백과]. 속등록20 황룡지명. 한림학사(翰林學士) 장공(張公) 상영이 스님에게 출세를 청했다.


汗馬祖庭事苑五 汗馬 李廣利爲貳師將軍 伐大宛國 得汗血馬 名蒲捎 漢武作天馬之歌 馬出汗卽有功勞 故云汗馬 明覺語錄三 從前汗馬無人見 只要重論蓋代功 北磵居簡語錄 從前汗馬無人識 何必重論蓋代功

한마(汗馬) 조정사원5. 한마(汗馬) 이광리(李廣利)가 이사장군이 되어 대완국(大宛國)을 정벌해 한혈마(汗血馬)를 얻었는데 이름이 포소(蒲捎)였다. 한무제가 천마(天馬)의 노래를 지었다. 말이 땀을 내면 곧 공로가 있으므로 고로 이르되 한마임. 명각어록3. 종전의 한마(汗馬)를 보는 사람이 없으니 다만 요컨대 시대를 덮은 공을 다시 논해야 하리라. 북간거간어록. 종전의 한마(汗馬)를 아는 사람이 없으나 하필이면 시대를 덮은 공을 다시 논해야 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