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閑言語】 多餘無用之語 ▲文益語錄 問 如何得諸法無當去 師云 甚麽法當著上座 云 爭奈日夕何 師云 閑言語
한언어(閑言語) 많이 남아 무용한 말. ▲문익어록. 묻되 어떻게 해야 제법이 당함이 없음을 얻습니까. 스님이 이르되 무슨 법이 상좌에게 당했는가. 이르되 일석(日夕)은 어찌 하겠습니까. 스님이 이르되 한언어(閑言語; 쓸데없는 말)다.
) -->
【閑言長語】 同閑言語 ▲普燈錄十五拗堂中仁 秤鎚搦出油 閑言長語休 腰纏十萬貫 騎鶴上揚州
한언장어(閑言長語) 한언어(閑言語)와 같음. ▲보등록15 요당중인. 칭추(秤鎚)를 억눌러 기름을 냄이니 한언장어(閑言長語)를 그쳐라. 허리에 10 만 관을 묶고 학을 타고 양주(揚州)에 오른다.
) -->
【瀚如學】 淸代臨濟宗僧超學 字瀚如 詳見超學
한여학(瀚如學) 청대 임제종승 초학의 자가 한여니 상세한 것은 초학(超學)을 보라.
) -->
【寒烏】 寒天的烏鴉 ▲宏智廣錄七 海犀酣月而暈 寒烏帶雪而飛
한오(寒烏) 한천(寒天; 겨울 하늘)의 까마귀. ▲굉지광록7. 해서(海犀)는 달을 즐기며 무리(暈)가 생기고 한오(寒烏)는 눈을 가지고 난다(飛).
【寒溫】 指問候冷暖起居等寒溫 ▲五燈全書五十五了幻法林 中峰居常見兄弟相訪 只是敘通寒溫 燒香叉手
한온(寒溫) 냉난과 기거(起居)를 문후(問候)하는 한온을 가리킴. ▲오등전서55 요환법림. 중봉은 거상(居常; 평시)에 형제의 상방(相訪)을 보면 다만 이 한온(寒溫)을 서통(敘通)하고 소향(燒香)하고 차수했다.
) -->
【旱雲寺】 位於日本神奈川縣 號金湯山 屬臨濟宗大德寺派 大永元年(1524 一說 永正十六年 1519) 北條氏綱依先考早雲庵宗瑞之遺言 再興當地之眞覺寺(一說春閣寺) 而命名爲早雲寺 延請紫野大德寺宗淸以天爲開山第一世 而一切佛殿法堂衆寮等 均仿傚大德寺之制 現今寺中尙保有方丈室 鐘堂 開山堂 書院等 [小田原記 北條五代實紀三 本朝高僧傳四十四]
한운사(旱雲寺) 일본 신나천현에 위치하며 호는 금탕산이며 임제종 대덕사파에 속함. 대영 원년(1521. 일설엔 영정 16년 1519) 북조씨강(北條氏綱)이 선고(先考) 조운암(早雲庵) 종서(宗瑞)의 유언에 의해 당지(當地)의 진각사(일설엔 춘각사)를 재흥(再興)하고 명명하여 조운사라 했으며 자야(紫野) 대덕사 종청이천(宗淸以天)을 연청(延請)해 개산 제1세로 삼았는데 일체의 불전ㆍ법당ㆍ중료 등을 균일하게 대덕사의 체제(體制)를 방효(仿傚; 모방함)했음. 현금의 사중에 오히려 방장실ㆍ종당ㆍ개산당ㆍ서원 등을 보유(保有)했음 [소전원기. 북조오대실기3. 본조고승전44].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4쪽 (0) | 2019.12.25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3쪽 (0) | 2019.12.25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1쪽 (0) | 2019.12.25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0쪽 (0) | 2019.12.25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9쪽 (0) | 2019.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