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3쪽

태화당 2019. 12. 25. 13:26

閒雲海淸代臨濟宗僧行海 字閒雲 詳見行海

한운해(閒雲海) 청대 임제종승 행해의 자가 한운이니 상세한 것은 행해(行海)를 보라.

) --> 

翰苑翰林院的別稱 五燈全書七十五法幢幟 任滿 膺殊典入舘 得編修知 推入翰苑

한원(翰苑) 한림원의 별칭. 오등전서75 법당치. 임기가 만료되자 수전(殊典)을 받아 입관(入舘)했고 편수(編修)의 알아줌을 얻어 추거(推擧)로 한원(翰苑)에 들어갔다.

) --> 

漢月法藏明代臨濟宗僧法藏 字漢月 世稱漢月法藏 詳見法藏

한월법장(漢月法藏) 명대 임제종승 법장의 자가 한월이며 세칭이 한월법장. 상세한 것은 법장(法藏)을 보라.

) --> 

漢月藏明代臨濟宗僧法藏 字漢月 詳見法藏

한월장(漢月藏) 명대 임제종승 법장의 자가 한월이니 상세한 것은 법장(法藏)을 보라.

) --> 

韓愈(768-824) 唐代古文家 字退之 鄧州南陽(河南南陽)人 先世居昌黎 讚揚儒家 反對佛敎道敎 憲宗時 官至刑部侍郞 後以諫迎佛骨事 貶爲潮州刺史 晩年官至吏部侍郞 人稱韓吏部 嘗問道於大顚和尙 長慶四年十二月卒 時年五十七 贈禮部尙書 謚曰文 [舊唐書一六新唐書一七六 祖庭事苑四 百度百科]

한유(韓愈) (768-824) 당대(唐代)의 고문가(古文家). 자는 퇴지(退之)며 등주 남양(하남 남양) 사람이니 선세(先世; 前代. 先祖)는 창려에 거주했음. 유가(儒家)을 찬양(讚揚)했고 불교와 도교에 반대했음. 헌종 때 벼슬이 형부시랑에 이르렀고 후에 불골(佛骨)을 영접하는 사건을 간하다가 폄직(貶職)되어 조주자사가 되었음. 만년에 벼슬이 이부시랑에 이르렀고 사람들이 한이부(韓吏部)라 일컬었음. 일찍이 대전화상(大顚和尙)에게 도를 물었고 장경 412월에 졸()했으며 당시의 나이는 57. 예부상서를 추증하고 시호를 가로되 문()이라 했음 [구당서160. 신당서176. 조정사원4. 백도백과].

) --> 

寒衣冬天禦寒的衣服 如棉衣棉褲等 守卓語錄 大似孟姜女送寒衣相似

한의(寒衣) 겨울철에 추위를 막는 의복이니 예컨대() 면의(棉衣)ㆍ면고(棉褲; 면바지) . 수탁어록. 대사(大似; 매우 흡사) 맹강녀(孟姜女)가 한의(寒衣)를 보냄과 상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