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姮娥宮】 月宮 參姮娥 ▲碧巖錄第十二則 姮娥宮裏作窠窟
항아궁(姮娥宮) 월궁이니 항아(姮娥)를 보라. ▲벽암록 제12칙. 항아궁(姮娥宮) 속에서 과굴(窠窟)을 짓는다.
) -->
【亢陽】 亢 旱也 陽 旱也 亢陽卽乾旱 ▲古尊宿語錄四十二雲庵眞淨 僧問 天地亢陽願垂一雨 師云 自有淸涼者
항양(亢陽) 항(亢)은 한(旱; 가뭄)이며 양(陽)도 한(旱)이니 항양은 곧 건한(乾旱; 건조한 가뭄). ▲고존숙어록42 운암진정. 중이 묻되 천지가 항양(亢陽)하니 원컨대 1우(雨)를 내리십시오. 스님이 이르되 스스로 청량한 자가 있다.
) -->
【恒暘若】 恒暘 亦作恒陽 久晴不雨 若 助詞 相當於貌 樣子 ▲鐔津文集七 洪範咎徵曰 僭 恒暘若 又曰 王省惟歲 卿士惟月 師尹惟日
항양약(恒暘若) 항양(恒暘)은 또한 항양(恒陽)으로 지음. 오래 개여서 비가 내리지 않음. 약(若)은 조사니 모(貌)ㆍ양자(樣子)에 상당함. ▲심진문집7. 홍법 구징(咎徵)에 가로되 참(僭; 어그러지다. 참람하다)은 항양약(恒暘若; 항상 더위가 따름)이니라. 또 가로되 왕성유세(王省惟歲)며 경사유월(卿士惟月)이며 사윤유일(師尹惟日)이다.
) -->
【恒然】 永遠不變 ▲祖堂集十九靈雲 諦當恒然亘古今 未徹見聞實甚深
항연(恒然) 영원불변. ▲조당집19 영운. 체당(諦當)하면 항연(恒然)하여 고금에 뻗치고 미철(未徹)해도 견문(見聞)이 실로 매우 깊다.
) -->
【項羽】 (前232-前202) 名籍 字羽 楚國下相(今江蘇宿遷)人 楚國名將項燕之孫 項羽早年跟隨叔父項梁在吳中(今江蘇蘇州) 起義反秦 項梁陣亡後他率軍渡河救趙王歇 於巨鹿之戰擊破章邯 秦亡後稱西楚霸王 定都彭城(今江蘇徐州) 實行分封制 封滅秦功臣及六國貴族爲王 而後漢王劉邦從漢中出兵進攻項羽 項羽與其展開了歷時四年的楚漢戰爭 期間雖然屢屢大破劉邦 但項羽始終沒有固定的後方補給 糧草殆盡 又猜疑亞父范增 最後反被劉邦所滅 公元前二百二年 項羽戰敗於垓下(今安徽靈璧縣南) 突圍至烏江(今安徽和縣烏江鎭)邊 自刎而死 [百度百科] ▲無門關 淸稅孤貧 頌曰 貧似范丹 氣如項羽 活計雖無 敢與鬪富
항우(項羽) (前 232-前 202) 이름은 적(籍)이며 자(字)는 우(羽)며 초국(楚國) 하상(下相; 지금의 江蘇 宿遷) 사람이며 초국의 명장(名將) 항연(項燕)의 손자임. 항우는 젊은 나이에 숙부인 항량(項梁)을 따라 오중(吳中; 지금의 江蘇 蘇州)에 있으면서 기의(起義)하여 진(秦)에 반역(反逆)했으며 항량이 진중(陣中)에서 사망한 후 그가 군대를 인솔하여 도하(渡河)하여 조왕(趙王) 헐(歇)을 구제(救濟)하고 거록(巨鹿)의 전투에서 장감(章邯)을 격파했음. 진(秦)이 망한 후 서초패왕(西楚霸王)이라 일컬으며 도읍을 팽성(彭城; 지금의 江蘇 徐州)으로 정했음. 분봉제(分封制)를 실행했으니 진(秦)을 멸한 공신(功臣)과 및 6국(國)의 귀족을 봉(封)하여 왕으로 삼았음. 이후(而後) 한왕(漢王) 유방(劉邦)이 한중(漢中)으로 좇아 출병하여 항우를 진공(進攻)하자 항우가 그와 더불어 4년의 시절을 경과하는 초한전쟁(楚漢戰爭)을 전개(展開)했음. 기간에 비록 그렇게 여러 차례 유방을 대파했지만 단지 항우는 시종 고정적(固定的)인 후방보급(後方補給)이 있지 않아서 양초(糧草)가 거의 다했으며 또 아부(亞父)인 범증(范增)을 시기(猜忌)하고 의심해 최후에 도리어 유방에게 멸망되는 바를 입었음. 공원전(公元前) 202년 항우가 해하(垓下; 지금의 安徽 靈璧縣 南)에서 전패(戰敗)하자 포위를 뚫고 오강(烏江; 지금의 安徽 和縣 烏江鎭) 가에 이르러 스스로 목을 찔러 죽었음 [백도백과]. ▲무문관. 청세고빈(淸稅孤貧) 송왈(頌曰) 가난하기는 범단(范丹)과 같고/ 의기(意氣)는 항우(項羽)와 같아/ 활계(活計)가 비록 없지만/ 감히 더불어 부(富)를 다툰다.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16쪽 (0) | 2019.12.26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15쪽 (0) | 2019.12.26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13쪽 (0) | 2019.12.26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12쪽 (0) | 2019.12.26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11쪽 (0) | 2019.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