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66쪽

태화당 2019. 12. 26. 11:46

行洸(?-1695) 淸代臨濟宗僧 字濟水 上虞(今屬浙江)顧氏 箬菴通問法嗣 宗說兼通 住杭之理安 有正訛錄 傳戒儀範 正法錄等 [五燈全書八十 正源略集四 新續高僧傳四集二十四]

행광(行洸) (?-1695) 청대 임제종승. 자는 제수며 상우(지금 절강에 속함) 고씨. 약암통문(箬菴通問)의 법사며 종설(宗說)을 겸통(兼通)했고 항()의 이안(理安)에 거주했음. 정와록ㆍ전계의범ㆍ정법록 등이 있음 [오등전서80. 정원약집4. 신속고승전424].

) --> 

行廣淸代臨濟宗僧 號天水 江西吉安人 天童費隱通容法嗣 住旴江資聖 [五燈全書七十一]

행광(行廣) 청대 임제종승. 호는 천수며 강서 길안 사람이며 천동 비은통용의 법사며 우강 자성에 거주했음 [오등전서71].

) --> 

行拳動拳頭打拳 聯燈會要二十二龍牙居遁 僧問 十二時中 如何用力 師云 如無手人行拳

행권(行拳) 주먹을 움직여 주먹으로 때림. 연등회요22 용아거둔. 중이 묻되 12시 중에 어떻게 용력(用力)해야 합니까. 스님이 이르되 손이 없는 사람이 행권(行拳)함과 같다.

) --> 

行貴淸代臨濟宗僧 字不二 陝西鳳翔高氏 年二十落髮 參歷諸方 入蜀謁昭覺丈雪 因汲水睹影 豁然開悟 得印可 出住燕京嚴淨寺 [五燈全書八十七補遺]

행귀(行貴) 청대 임제종승. 자는 불이(不二)며 섬서 봉상 고씨. 나이 20에 낙발(落髮)했고 제방을 참력(參歷)했고 입촉(入蜀)하여 소각장설(昭覺丈雪)을 참알했음. 물을 긷다가 그림자를 봄으로 인해 활연(豁然)히 개오했고 인가를 얻었음. 출세해 연경 엄정사에 주()했음 [오등전서87보유].

) --> 

行規淸代臨濟宗僧 字衡嶽 楚南武攸蔣氏 禮黔之銅仁江口香山寺聖符越薙染 圓具 並印可 住石阡鳳凰寺 於鎭遠㵲陽迎仙寺寂 壽四十九 [黔南會燈錄五]

행규(行規) 청대 임제종승. 자는 형악이며 초남 무유 장씨. ()의 동인강구(銅仁江口) 향산사 성부월(聖符越)을 예알하여 치염(薙染)했고 원구(圓具)했고 아울러 인가를 받았음. 석천 봉황사에 주()했고 진원 무양 영선사에서 적()했음. 나이는 49 [검남회등록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