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行杲】 ①(?-1678) 淸代臨濟宗僧 字梅翁 一字汝風 長洲(江蘇吳縣)張氏 初依蒼雪受業 參天童圓悟 再參箬庵通問於夾山 遂嗣其法 繼席武林南澗三載 退居潤州靜室 有語錄十卷 [五燈全書八十 正源略集四 新續高僧傳四集四十] ②淸代臨濟宗僧 字漢目 泉州(今屬福建)黃氏 年十一詣圭峰妙湛薙染 參黃檗隆琦 天童道忞 皆有契 受林野通奇付囑 出住江南寧國寧元寺 [五燈全書七十八]
행고(行杲) ①(?-1678) 청대 임제종승. 자는 매옹(梅翁)이며 일자(一字)는 여풍이니 장주(강소 오현) 장씨. 처음에 창설에게 의지해 수업했고 천동원오를 참했고 다시 약암통문(箬庵通問)을 협산에서 참해 드디어 그의 법을 이었음. 무림 남간을 계석(繼席)한 지 3재(載)에 윤주 정실(靜室)로 퇴거했음. 어록 10권이 있음 [오등전서80. 정원약집4. 신속고승전4집40]. ②청대 임제종승. 자는 한목이며 천주(지금 복건에 속함) 황씨. 나이 11에 규봉묘담에게 나아가 치염(薙染)했고 황벽융기ㆍ천동도민을 참해 모두 계합이 있었으며 임야통기(林野通奇)의 부촉을 받았음. 출세해 강남 영국 영원사에 주(住)했음 [오등전서78].
) -->
【行古】 淸代臨濟宗僧 字楚水 桐城(今屬安徽)方氏 幼閱永嘉錄有省 往參龍池通微 默受心印 住涇川寶勝寺 [五燈全書七十二補遺]
행고(行古) 청대 임제종승. 자는 초수며 동성(지금 안휘에 속함) 방씨. 어릴 적에 영가록을 열람하고 살핌이 있었음. 용지통미(龍池通微)를 왕참(往參)하여 심인을 묵수(默受)했고 경산 보승사에 주(住)했음 [오등전서72보유].
) -->
【行恭】 (1613-1672) 淸代臨濟宗僧 字中明 秀水(浙江嘉興)蔣氏 萬如通微法嗣 繼住宜興龍池 坐化後塔於吉州梅溪龍山 [五燈全書七十二補遺]
행공(行恭) (1613-1672) 청대 임제종승. 자는 중명이며 수수(절강 가흥) 장씨. 만여통미의 법사며 의흥 용지를 계주(繼住)했음. 좌화(坐化)한 후 길주 매계 용산에 탑을 세웠음 [오등전서72보유].
) -->
【行鞏】 (1220-1280) 元代楊岐派僧 字石林 依天童文禮受法 初住安吉上方 遷思溪法寶 隆興黃龍 吳郡承天 後住杭州淨慈 [五燈會元續略三上 五燈全書四十九 釋氏疑年錄九]
행공(行鞏) (1220-1280) 원대 양기파승. 자는 석림(石林)이며 천동문례(天童文禮)에게 의지해 법을 받았음. 처음은 안길 상방에 거주했고 사계 법보ㆍ융흥 황룡ㆍ오군 승천으로 옮겼으며 후에 항주 정자에 거주했음 [오등회원속략3상. 오등전서49. 석씨의년록9].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66쪽 (0) | 2019.12.26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65쪽 (0) | 2019.12.26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63쪽 (0) | 2019.12.26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62쪽 (0) | 2019.12.26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61쪽 (0) | 2019.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