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行機】 (1108-1179) 宋代楊岐派僧 字簡堂 台州(浙江臨海)楊氏 年二十薙髮 因見此庵景元 密有契證 入番陽莞山 獨處十七年 後主江州圓通 法席大振 尋移國淸 與給事吳芾爲方外友 [普燈錄十九 五燈會元二十]
행기(行機) (1108-1179) 송대 양기파승. 자는 간당(簡堂)이며 태주(절강 임해) 양씨. 나이 20에 머리를 깎았고 차암경원(此庵景元)을 참견함으로 인해 몰래 계증(契證)이 있었음. 번양 완산에 들어가 17년 동안 독처(獨處)했으며 후에 강주 원통을 주지(主持)했는데 법석이 대진(大振)했음. 이윽고 국청으로 옮겼고 급사(給事) 오비(吳芾)와 방외우(方外友)가 되었음 [보등록19. 오등회원20].
) -->
【行起】 淸代臨濟宗僧 字釆若 依牧雲通門得法 住江西瑞金松寶 [五燈全書七十六]
행기(行起) 청대 임제종승. 자는 변약이며 목운통문에게 의지해 득법했고 강서 서금 송보에 거주했음 [오등전서76].
) -->
【行起提】 淸代臨濟宗僧上提 字行起 詳見上提
행기제(行起提) 청대 임제종승 상제의 자가 행기니 상세한 것은 상제(上提)를 보라.
) -->
【行年】 經歷的年歲 指當時年齡 ▲五燈會元十九南堂元靜 行年七十老躘踵 眼目精明耳不聾
행년(行年) 경력한 연세니 당시의 연령을 가리킴. ▲오등회원19 남당원정. 행년(行年)이 70이라 늙어 용종(躘踵)하지만 안목은 정명(精明; 아주 깨끗하고 밝음)하고 귀는 먹지 않았다.
) -->
【行能】 ①淸代臨濟宗僧 字鐵關 淸流(今屬福建)趙氏 年十四往淸凉出家 十六抵潤州焦山 聽講華嚴疏鈔 後至宜興龍池 參萬如通微得法 順治五年(1648) 開法荊溪大蘆 遷龍池 工詩 侍者超然超淑編有鐵關禪師語錄一卷 [五燈全書七十二 宗統編年三十二] ②(1594-1663) 淸代臨濟宗僧 字了悟 墊江(今屬重慶)李氏 參林野通奇得法 初住廣德石溪崇化 次遷太平府之昭明 未幾返石溪 [正源略集六] ③淸代臨濟宗僧 字密傳 山東仲氏 年二十出家 圓具 參夾山林皋 報恩通琇 謁南澗通問契機 出住眞州北山 重興眞歇道場 [五燈全書八十] ④淸代臨濟宗僧 字若無 丹徒(今屬江蘇)張氏 依牧雲通門受法 繼住鎭江鶴林寺 [五燈全書七十六補遺]
행능(行能) ①청대 임제종승. 자는 철관(鐵關)이며 청류(지금 복건에 속함) 조씨. 나이 14에 청량에 가서 출가했고 16에 윤주 초산에 다다라 화엄소초를 청강했음. 후에 의흥 용지에 이르러 만여통미(萬如通微)를 참해 득법했음. 순치 5년(1648) 형계 대로에서 개법했고 용지로 옮겼음. 시에 공교(工巧)했고 시자 초연과 초숙이 편(編)한 철관선사어록 1권이 있음 [오등전서72. 종통편년32]. ②(1594-1663) 청대 임제종승. 자는 요오(了悟)며 점강(지금 중경에 속함) 이씨(李氏). 임야통기(林野通奇)를 참해 득법했고 처음은 광덕 석계 숭화에 거주했고 다음으로 태평부의 소명으로 옮겼으며 오래지 않아 석계로 돌아갔음 [정원약집6]. ③청대 임제종승. 자는 밀전이며 산동 중씨. 나이 20에 출가했고 원구(圓具)했음. 협산임고ㆍ보은통수를 참했고 남간통문(南澗通問)을 참알하여 계기(契機)했음. 출세해 진주 북산에 거주했고 진헐도량(眞歇道場)을 중흥했음 [오등전서80]. ④청대 임제종승. 자는 약무며 단도(지금 강소에 속함) 장씨. 목운통문(牧雲通門)에게 의지해 법을 받았고 이어서 진강 학림사에 주(住)했음 [오등전서76보유].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69쪽 (0) | 2019.12.26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68쪽 (0) | 2019.12.26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66쪽 (0) | 2019.12.26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65쪽 (0) | 2019.12.26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64쪽 (0) | 2019.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