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行茶】 指分配茶水 在會衆中分配茶水之作法 或亦指大衆共同喫茶 禪林行茶時 有一定之座位(行茶位)及喫茶之儀式 ▲百丈淸規四頭首就僧堂點茶 齋畢就坐 點茶頭首入堂炷香行茶
행다(行茶) 다수(茶水)를 분배함을 가리킴. 재회(在會)하는 중중(衆中)에서 다수를 분배하는 작법임. 혹 또한 대중이 공동으로 끽다함을 가리킴. 선림에서 행다할 때 일정한 좌위(座位; 行茶位) 및 끽다의 의식이 있음. ▲백장청규4 두수취승당점다. 재를 마치면 취좌(就坐)한다. 점다두수(點茶頭首)가 입당하여 주향(炷香; 燒香)하고 행다(行茶)한다.
) -->
【行端】 (1254-1341) 元代楊岐派僧 浙江臨海人 俗姓何 號元叟(原叟) 又稱寂照 家世業儒 六歲隨母習儒學 及長 隨化城院之叔父茂上人剃髮 參徑山藏叟善珍(楊岐下七世)而得法 大德四年(1300) 住湖州(浙江)翔鳳山資福禪寺 八年 敕住中天竺萬壽寺 賜號慧文正辯禪師 未久 住靈隱景德寺 追賜佛日普照之號 至治二年(1322) 住徑山興聖萬壽寺 其間 三度受賜金襴袈裟 竝受歷代皇帝之歸依 至正元年八月四日示寂 壽八十八 臘七十六 編有慧文正辯佛日普照元叟端禪師語錄八卷 [南宋元明禪林僧寶傳十 續傳燈錄三十六 增續傳燈錄三]
행단(行端) (1254-1341) 원대 양기파승. 절강 임해 사람이며 속성은 하며 호는 원수(元叟; 原叟)며 또 명칭이 적조(寂照). 가세(家世)가 업유(業儒; 유학에 종사함)였음. 6세에 모친을 따라 유학(儒學)을 익혔고 및 장성하자 화성원의 숙부 무상인(茂上人)을 따라 머리를 깎았고 경산 장수선진(藏叟善珍; 양기하 7세)을 참해 득법했음. 대덕 4년(1300) 호주(절강) 상봉산 자복선사에 주(住)했고 8년 칙명으로 중천축 만수사에 주(住)했는데 사호(賜號)하여 혜문정변선사라 했음. 오래지 않아 영은 경덕사에 주(住)했고 불일보조(佛日普照)의 호를 추사(追賜)했음. 지치 2년(1322) 경산 흥성만수사에 주(住)했음. 그 사이 세 차례 금란가사를 수사(受賜)했고 아울러 역대 황제의 귀의를 받았음. 지정 원년 8월 4일 시적했고 나이는 88, 납은 76. 편저(編著)에 혜문정변불일보조원수단선사어록 8권이 있음 [남송원명선림승보전10. 속전등록36. 증속전등록3].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71쪽 (0) | 2019.12.26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69쪽 (0) | 2019.12.26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67쪽 (0) | 2019.12.26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66쪽 (0) | 2019.12.26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65쪽 (0) | 2019.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