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85쪽

태화당 2019. 12. 27. 08:38

行色行意 猶指行旅 明覺語錄六 伏枕寥寥情意闌 率寫狂歌贈行色

행색(行色) 행의(行意; 行色). 오히려 행려(行旅)를 가리킴. 명각어록6. 복침(伏枕)하고 요료(寥寥)하니 정의(情意)가 다했는데() 대강 광가(狂歌)를 서사해 행색(行色; 나그네)에게 준다.

) --> 

行先淸代臨濟宗僧 字印山 重慶鮮于氏 脫白 行脚 依通玄林野 因看三年不喫飯 目前無饑人話 得膺付囑 住杭州祗堂 [五燈全書七十九]

행선(行先) 청대 임제종승. 자는 인산(印山)이며 중경 선우씨. 탈백하고 행각했고 통현임야(通玄林野)에게 의지했음. 3년 동안 밥을 먹지 않았는데 목전에 주린 사람이 없다는 화(三年不喫飯 目前無饑人話)를 간()함으로 인해 부촉을 득응(得膺; 받음)했고 항주 기당(祗堂)에 거주했음 [오등전서79].

) --> 

行宣政院宣政院的派出機構 元順帝元統二年(1334) 革罷廣敎總管府 置行宣政院於杭州 官有院使同知副使各二人 同僉院判各一人 首領官經歷二人 都事知事照磨各一人 按至元二年(1265) 西番寇起 亦置行宣政院 又至正二年 江浙行宣政院 設崇敎所 擬行中書省理問官 以理僧民之事 百丈淸規一兩序進退 泰定(1324-1327)間 脫歡丞相領行宣政院 分上中下三等寺院

행선정원(行宣政院) 선정원(宣政院)의 파출기구(派出機構)니 원 순제 원통 2(1334) 광교총관부(廣敎總管府)를 혁파(革罷)하고 항주에 행선정원을 설치했음. 관리는 원사(院使)와 동지부사(同知副使) 2인ㆍ동첨(同僉)과 원판(院判) 1인ㆍ수령관경력(首領官經歷) 2인ㆍ도사(都事)ㆍ지사(知事)ㆍ조마(照磨) 1인이 있었음. 안험컨대 지원 2(12 65) 서번(西番)에 구기(寇起)하여 또한 행선정원을 설치했고 또 지정 2년 절강 행선정원에 숭교소(崇敎所)를 설치했으니 행중서성이문관(行中書省理問官)을 본떠() 승민(僧民)의 일을 다스렸음. 백장청규1 양서진퇴. 태정(1324-1327) 간 탈환승상(脫歡丞相)이 행선정원(行宣政院)을 거느리면서 상ㆍ중ㆍ하 3등의 사원으로 구분했다.

) --> 

行雪淸代臨濟宗僧 字太白 參費隱通容受法 容囑以偈曰 出入叢林舊有聲 棒風喝月不多爭 此來見我翻身去 活路生機任汝行 後住明州育王寺 [正源略集補遺 五燈全書七十一]

행설(行雪) 청대 임제종승. 자는 태백이며 비은통용(費隱通容)을 참해 법을 받았음. 통용이 게로써 부촉하여 가로되 총림에 출입하며 옛적에 명성이 있었지만/ 방풍(棒風)과 할월(喝月)은 부다쟁(不多爭; 차이가 많지 않음)이다/ 이에 여기에서 나의 번신(翻身)을 보았으니/ 활로(活路)에서 생기(生機)함은 너의 행에 맡긴다. 후에 명주 육왕사에 주()했음 [정원약집보유. 오등전서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