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行成】 (?-1655) 淸代臨濟宗僧 字古淵 長樂(今屬福建)王氏 年二十二投辟支崖虗舟薙染 侍黃檗琦 窮硏二載 參金粟通容 於三關語下有悟 職西堂 出住永嘉法通 廣福 天目昭明 末應括蒼連雲 興復衰廢 食指數千 寂後塔於東甌雲峰寺 [五燈全書七十一]
행성(行成) (?-1655) 청대 임제종승. 자는 고연(古淵)이며 장락(지금 복건에 속함) 왕씨. 나이 22에 벽지(辟支) 애허주(崖虗舟)에게 투신하여 치염(薙染)했고 황벽기를 시봉하며 두 해 동안 연궁(窮硏)했음. 금속통용(金粟通容)을 참해 삼관어(三關語) 아래에서 깨침이 있었고 서당(西堂)을 맡았음. 출세해 영가 법통ㆍ광복ㆍ천목 소명에 거주했고 마지막에 괄창연운(括蒼連雲)에 응해 쇠폐(衰廢)를 흥복(興復)했고 식지(食指)가 수천이었음. 적후(寂後)에 동구 운봉사에 탑을 세웠음 [오등전서71].
) -->
【行省】 ①(1599-1668) 淸代臨濟宗僧 字虛舟 慈溪(今屬浙江)姚氏 幼通儒業 年十八上雪竇薙染 參語風 雙桂諸先輩 依福嚴通容 久而有省 開法吼山 門人於杭之西湖 創留錫庵奉老 寂後徐善撰行狀 有語錄 [五燈全書七十一] ②行中書省 元朝(中統至元年間) 開始實施的直屬中央政府管轄的一級行政區 民間簡稱行省 [百度百科] ▲五燈全書五十五以中智及 江浙行省丞相達識帖穆兒 復請住持徑山
행성(行省) ①(1599-1668) 청대 임제종승. 자는 허주(虛舟)며 자계(지금 절강에 속함) 요씨. 어릴 적에 유업(儒業)에 통달했고 나이 18에 설두에 올라 치염(薙染)했음. 어풍ㆍ쌍계 여러 선배를 참했고 복엄통용(福嚴通容)에게 의지하며 오래되자 성찰이 있었음. 후산에서 개법했고 문인(門人)이 항(杭)의 서호에 유석암을 창건해 봉로(奉老)했음. 적후(寂後)에 서선이 행장을 지었고 어록이 있음 [오등전서71]. ②행중서성(行中書省)이니 원조(元朝; 中統 至元年 間) 개시(開始)하여 실시한 중앙정부의 관할에 직속한 1급 행정구(行政區)며 민간에서 간칭하여 행성이라 함 [백도백과]. ▲오등전서55 이중지급. 강절행성(江浙行省) 승상 달식첩목아(達識帖穆兒)가 다시 청해 경산에 주지했다.
) -->
【行盛】 淸代臨濟宗僧 字本充 泉州(今屬福建)吳氏 金粟費隱通容法嗣 聰達明解 神理超越 住杭州慧雲寺 [正源略集五 五燈全書七十一]
행성(行盛) 청대 임제종승. 자는 본충(本充)이며 천주(지금 복건에 속함) 오씨. 금속 비은통용(費隱通容)의 법사며 총달(聰達)하고 명해(明解)했으며 신리(神理)가 초월했음. 항주 혜운사에 주(住)했음 [정원약집5. 오등전서71].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88쪽 (0) | 2019.12.27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87쪽 (0) | 2019.12.2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85쪽 (0) | 2019.12.2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84쪽 (0) | 2019.12.2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83쪽 (0) | 2019.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