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行業】 指身口意所造作之行爲 又作作業 ▲臨濟語錄 師初在黃蘗會下 行業純一
행업(行業) 신구의(身口意)로 조작하는 바의 행위를 가리킴. 또 작업으로 지음. ▲임제어록. 스님이 처음 황벽회하에 있으면서 행업(行業)이 순일(純一)했다.
) -->
【行業記】 行業的記錄 言行錄 ▲續燈錄五佛日明敎 宋代高僧鮮有如師 具在陳賢良行業記
행업기(行業記) 행업의 기록이니 말하자면 행록(行錄)임. ▲속등록5 불일명교. 송대 고승에 스님과 같은 이가 드물게 있었다. 진현량(陳賢良)의 행업기(行業記)게 갖추어 있다.
) -->
【行如】 ①淸代臨濟宗僧 字中樸 江都(今屬江蘇)王氏 依牧雲通門受法 繼住鎭江鶴林寺 [五燈全書七十六補遺] ②淸代臨濟宗僧 字子山 號橐庵 蘇州(今屬江蘇)黃氏 年十七 至堯峰禮西脉落髮 受戒於杭州徑山 後謁箬菴通問於南澗 而嗣其法 住洞庭華嚴 金澤頤浩 繼席南磵 堯峰 夾山諸祖庭 凡五坐道場 條令森嚴 眞參實究者依之 歸老於郡之畫眉泉 門人集五會語錄 吳江潘采作序 徐枋爲志銘 年七十七寂 [五燈全書八十 正源略集四 民國吳縣志七十七上]
행여(行如) ①청대 임제종승. 자는 중박이며 강도(지금 강소에 속함) 왕씨. 목운통문에게 의지해 법을 받았고 이어서 진강 학림사에 주(住)했음 [오등전서76보유]. ②청대 임제종승. 자는 자산(子山)이며 호는 탁암이니 소주(지금 강소에 속함) 황씨. 나이 17에 요봉에 이르러 서맥을 예알하여 낙발(落髮)했고 항주 경산에서 수계했음. 후에 약암통문(箬菴通問)을 남간에서 참알하여 그의 법을 이었음. 동정 화엄ㆍ금택 이호에 거주하다가 남간ㆍ요봉ㆍ협산 여러 조정(祖庭)을 계석(繼席)했으며 무릇 도량에 5좌(坐)했음. 조령(條令)이 삼엄(森嚴)했고 진참실구자(眞參實究者)가 그에게 의지했음. 군(郡)의 화미천(畫眉泉)에 귀로(歸老)했음. 문인이 5회어록(五會語錄)을 편집했고 오강 반채(潘采)가 서(序)를 지었음. 서방(徐枋)이 지명(志銘; 墓志銘)을 지었고 나이 77에 적(寂)했음 [오등전서80. 정원약집4. 민국오현지77상].
) -->
【行然】 (1615-1690) 淸代臨濟宗僧 字古風 嘉興(今屬浙江)許氏 年十八薙度 依金粟通容 執役碓寮 力參本來面目話有省 住杭州東蓮寺 有語錄 [王源略集補遺 五燈全書七十一]
행연(行然) (1615-1690) 청대 임제종승. 자는 고풍(古風)이며 가주(지금 절강에 속함) 허씨. 나이 18에 치도(薙度)했고 금속통용(金粟通容)에게 의지하며 대료(碓寮)에서 집역(執役)했고 본래면목화를 역참(力參)하여 성찰이 있었음. 항주 동련사에 주(住)했고 어록이 있음 [왕원약집보유. 오등전서71].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95쪽 (0) | 2019.12.27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94쪽 (0) | 2019.12.2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92쪽 (0) | 2019.12.2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91쪽 (0) | 2019.12.2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90쪽 (0) | 2019.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