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行澤】 ①淸代臨濟宗僧 字範圍 吉安(今屬江西)陳氏 年十四投邑東塘山祝髮 二十一參西陽老宿 陽令參天童圓悟 不契 乃參報恩通賢 遂嗣法 住江西寶藏 [五燈全書七十七 正源略集六] ②(1607-1654) 淸代臨濟宗僧 字雲外 婺源(今屬江西)汪氏 年二十五投黃山雲谷院無易守脫白 初參天童密雲 聞開門聲有省 後依松際通授於磬山 發憤力究 遂得大悟 出世蘄州菩提 移湖陰神鼎 有語錄十五卷 [五燈全書八十一 正源略集四 新續高傳四集二十四 揞黑豆集七]
행택(行澤) ①청대 임제종승. 자는 범위며 길안(지금 강서에 속함) 진씨. 나이 14에 읍(邑)의 동당산에 투입해 머리를 깎았고 21에 서양노숙을 참했는데 서양이 천동원오를 참하게 했으나 계합하지 못했음. 이에 보은통수(報恩通賢)를 참해 드디어 법을 이었음. 강서 보장에 거주했음 [오등전서77 정원약집6]. ②(1607-1654) 청대 임제종승. 자는 운외(雲外)며 무원(지금 강서에 속함) 왕씨. 나이 25에 황산 운곡원 무역수에게 투신하여 탈백했고 처음 천동밀운을 참해 문 여는 소리를 듣고 깨침이 있었음. 후에 송제통수(松際通授)를 경산에서 의지하며 발분(發憤)하여 역구(力究)했고 드디어 대오를 얻었음. 기주 보리에서 출세했고 호음 신정으로 이주했음. 어록 15권이 있음 [오등전서81. 정원약집4. 신속고전4집24. 암흑두집7].
) -->
【行婆】 指信佛修行之老婦 ▲傳燈錄八浮盃和尙 有凌行婆來禮拜師
행파(行婆) 불법을 믿고 수행하는 노부(老婦)를 가리킴. ▲전등록8 부배화상. 능행파(凌行婆)가 와서 스님에게 예배함이 있었다.
) -->
【行徧】 (?-1683) 淸代臨濟宗僧 字雲父 豫章(江西南昌)姜氏 明末避亂 抵金陵薙染 參天童林野通奇得法 士紳迎入淮陰淨名祖庭 宗風大振 偶覽漣水名勝 剪草開荒 建東山寺 [江蘇詩徵一八○ 五燈全書七十九]
행편(行徧) (?-1683) 청대 임제종승. 자는 운부며 예장(강서 남창) 강씨. 명말에 피란(避亂)하여 금릉에 다다라 치염(薙染)했고 천동 임야통기(林野通奇)를 참해 득법했음. 사신(士紳)이 회음 정명조실(淨名祖庭)로 영입하였고 종풍을 대진(大振)했음. 우연히 연수(漣水)의 명승(名勝)을 보고는 풀을 깎고 개황(開荒)하여 동산사를 건립했음 [강소시징180. 오등전서79].
) -->
【行浦】 淸代臨濟宗僧 字鶴汀 上虞(今屬浙江)薛氏 嗣法浮石通賢 出世住持松江崇福 [五燈全書七十七]
행포(行浦) 청대 임제종승. 자는 학정이며 상우(지금 절강에 속함) 설씨. 부석통현의 법을 이었고 출세하여 송강 숭복에 주지했음 [오등전서77].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26쪽 (0) | 2019.12.27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25쪽 (0) | 2019.12.2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23쪽 (0) | 2019.12.2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22쪽 (0) | 2019.12.2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21쪽 (0) | 2019.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