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28쪽

태화당 2019. 12. 27. 09:24

行海金山志見金山志略

행해금산지(行海金山志) 금산지략을 보라.

) --> 

行行每一方面 祖堂集三一宿覺 夫沙門者 具三千威儀 八萬細行 行行無虧 名曰沙門

행행(行行) 매 일방면. 조당집3 일숙각. 무릇 사문이란 자는 3천 위의와 8만 세행(細行)을 갖추어 행행(行行)에 어긋남이 없어야 이름해 가로되 사문이다.

) --> 

行香】 ①乃施主爲僧衆設齋食時 先以香分配大衆 而行燒香繞塔禮拜之儀式 指月錄二賓頭盧 阿育王內宮 齋三萬大阿羅漢 躬自行香 見第一座無人 王問其故 海意尊者曰 此是賓頭盧位 此人近見佛來 燒香謂爲行香 敕修淸規一聖節 燒香侍者覆住持 來早上堂 至五更住持行香

행향(行香) 곧 시주가 승중을 위해 재식(齋食)을 베풀 때 먼저 향을 대중에게 분배하여 향을 사르고 탑을 돌면서 예배를 행하는 의식임. 지월록2 빈두로. 아육왕이 내궁에서 3만 대아라한에게 재()하고 몸소 행향(行香)했다. 1좌에 사람이 없음을 보고 왕이 그 연고를 묻자 해의존자(海意尊者)가 가로되 이것은 이 빈도로(賓頭盧)의 자리입니다. 이 사람은 최근에 불타를 친견하고 왔습니다. 소향(燒香)을 일러 행향이라 함. 칙수청규1 성절. 소향시자가 주지에게 알리되() 내일 아침 상당입니다. 5()에 이르면 주지가 행향(行香)한다.

) --> 

행형(行瑩) 행영(行瑩).

) --> 

行戶比喩禪家法會 大慧語錄二十九 旣落在這行戶裏 被人喚作宗師

행호(行戶) 선가의 법회에 비유함. 대혜어록29. 이미 이 행호(行戶) 속에 떨어져 사람들이 종사라고 불러 지음을 입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