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33쪽

태화당 2019. 12. 27. 09:27

鄕曲鄕里 亦指窮鄕僻村 形容識見寡陋 曲 彎曲的地方 偏僻的地方 祖庭事苑八 遠離鄕曲 脚行天下

향곡(鄕曲) 향리니 또한 궁향벽촌(窮鄕僻村)을 가리킴. 식견이 과루(寡陋)함을 형용. ()은 만곡(彎曲)의 지방, 편벽된 지방. 조정사원8. 향곡(鄕曲)을 멀리 떠나 발로 천하를 다니다.

響谷徹淸代臨濟宗僧行徹 字響谷 詳見行徹

향곡철(響谷徹) 청대 임제종승 행철의 자가 향곡이니 상세한 것은 행철(行徹)을 보라.

) --> 

鄕關萬里鄕關 故鄕 比喩相距本源十分遙遠 傳燈錄二十永光眞 言鋒若差鄕關萬里 直須懸崖撒手自肯承當 絶後再蘇欺君不得

향관만리(鄕關萬里) 향관은 고향이니 본원(本源)과 서로 떨어짐이 십분 요원함에 비유함. 전등록20 영광진. 언봉(言鋒)이 만약 어긋나면 향관만리(鄉關萬里)니 바로 모름지기 낭떠러지에서 손을 놓아 스스로 수긍해 승당하고 기절한 후에 다시 깨어나야 그대를 속임을 얻지 못한다.

) --> 

香光莊嚴心念佛 佛隨逐於吾身 猶如染香氣之人身有香氣也 [楞嚴經五] 無異廣錄一 若識得 便證香光莊嚴

향광장엄(香光莊嚴) 마음으로 염불하면 불타가 나의 몸을 수축(隨逐)함이 마치 향기에 물든 사람의 몸에 향기가 있음과 같음 [릉엄경5]. 무이광록1. 만약 식득(識得)하면 곧 향광장엄(香光莊嚴)을 증득한다.

) --> 

香几同於香案 香爐之臺 [象器箋十九] 列祖提綱錄十七呆庵莊 拈拄杖敲香几云 永嘉大師來也

향궤(香几) 향안(香案)과 같음. 향로의 대() [상기전19]. 열조제강록17 매암장. 주장자를 집어 향궤(香几)를 두드리고 이르되 영가대사가 오셨다.

) --> 

向南南方 聯燈會要八仰山慧寂 師問僧 近離甚處 云 向南

향남(向南) 남방. 연등회요8 앙산혜적. 스님이 중에게 묻되 최근에 어디를 떠났는가. 이르되 향남(向南)입니다.

) --> 

鄕談方言 土語 祖堂集十七無染 父名範淸 族品降於眞骨一等 鄕談得難

향담(鄕談) 방언. 토어(土語). 조당집17 무염. 부친의 이름은 범청이며 족품(族品)이 진골보다 1() 아래며 향담(鄕談)으로 득난(得難)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