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63쪽

태화당 2019. 12. 27. 10:38

鄕評鄕里公衆的評論 古代選拔人才的重要依據 大慧宗門武庫 許知可 毘陵人 (中略)後擧又中鄕評 赴春官艤舟平望 夢前白衣人相見

향평(鄕評) 향리 공중(公衆)의 평론이니 고대 인재를 선발하는 중요한 의거(依據). 대혜종문무고. 허지가는 비릉 사람이다 (중략) 후에 과거(科擧)에서 향평(鄕評)에 급제()했다. 춘관(春官)에 다다르다가 평망(平望)에 배를 대었는데 전의 백의인(白衣人)과 상견하는 꿈을 꾸었다.


嚮風謂仰慕其人之品德或學問 五燈會元七天皇道悟 後卜荊州當陽紫陵山 學徒駕肩接迹 都人士女 嚮風而至

향풍(嚮風) 이르자면 그 사람의 품덕(品德)이나 혹 학문을 앙모함. 오등회원7 천황도오. 후에 형주 당양의 자릉산에 복거(卜居)했는데 학도가 가견접적(駕肩接迹)하여 도읍 사람의 사녀(士女)가 향풍(嚮風)하여 이르렀다.

) --> 

向下指從本至末 乃向上之對稱 於禪宗 轉大悟之境界 順應迷界而現自在之妙用者 稱爲向下門 雲門廣錄上 我問爾 尋常在長連床上 商量向上向下超佛越祖 爾道水牯牛 還有超佛越祖底道理麽 開福道寧語錄下 向下文長 付在來日

향하(向下) ()으로부터 말()에 이름을 가리킴. 곧 향상(向上)의 대칭이니 선종에선 대오(大悟)의 경계를 전()하여 미계(迷界)에 순응하여 자재의 묘용을 나타내는 것을 일컬어 향하문(向下門)이라 함. 운문광록상. 내가 너에게 묻겠다. 심상에 장련상(長連床) 위에 있으면서 향상향하(向上向下)와 초불월조(超佛越祖)를 상량하니 네가 말하라, 수고우(水牯牛)가 도리어 초불월조의 도리가 있는가. 개복도녕어록하. 향하(向下)하면 글이 기니 내일에 부쳐 둔다.

) --> 

香合入香之器 勅修淸規一聖節 燒香侍者捧香合

향합(香合) 향을 넣는 기구(器具). 칙수청규1 성절. 소향시자가 향합(香合)을 받든다.

) --> 

香閤靑年女子的住室 人天眼目一 夜半無燈香閤靜 鞦韆垂在月明中

향합(香閤) 청년(靑年; 靑春期)의 여자의 주실(住室). 인천안목1. 야반에 등은 없고 향합(香閤)은 고요한데 추천(鞦韆; 그네)이 월명 중에 드리워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