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香海】 ①香水海的略稱 見香水海 ▲五燈全書七十六二勝修 斵五嶽爲硯 揑四大洲爲墨 束天下叢林爲筆 汲大香海水爲墨池 展虗空作紙 東記西記 大書特書 ②明代曹洞宗僧 字巨川 雪巖滿法嗣 繼主夾山竹林寺 [續指月錄七]
향해(香海) ①향수해의 약칭이니 향수해를 보라. ▲오등전서76 이승수. 오악(五嶽)을 쪼개어 벼루로 삼고 사대주(四大洲)를 반죽하여 먹으로 삼고 천하의 총림을 묶어 붓으로 삼고 대향해수(大香海水)를 길어 묵지(墨池)로 삼고 허공을 펴서 종이로 삼아 동기서기(東記西記)하고 대서특서(大書特書)하다. ②명대 조동종승. 자는 거천이며 설암만의 법사며 협산 죽림사를 주지(主持)했음 [속지월록7].
) -->
【向火】 禪家於寒月時 坐於僧堂之爐邊取暖 稱爲向火 ▲百丈淸規六大衆章日用規範 寒月向火先坐爐圈上 然後轉身正坐 揖上下肩
향화(向火) 선가에서 한월(寒月) 때 승당의 화로 가에 앉아 온난을 취함을 일컬어 향화라 함. ▲백장청규6 대중장일용규범. 한월(寒月)에 향하(向火)하면 먼저 노권상(爐圈上)에 앉은 연후에 몸을 돌려 정좌(正坐)하고 상하견(上下肩)에 읍(揖)한다.
) -->
【香火】 燒香與燈火 ▲禪苑淸規二念誦 至時 堂中大殿土地堂 打疊洒掃 安排香火 鳴鐘集衆
향화(香火) 소향과 등화. ▲선원청규2 염송. 지시(至時)하면 당중(堂中)ㆍ대전(大殿)ㆍ토지당을 타첩(打疊; 정돈)하고 쇄소(洒掃; 물을 뿌리고 쓸다)하고 향화(香火)를 안배하고 종을 울리고 대중을 소집한다.
) -->
【香華】 香與華俱爲供養佛者 ▲萬善同歸集中 志公云 苦哉哀哉怨枉 棄却眞佛造像 香華供養求福 不免六賊枷杖
향화(香華) 향과 화(華)는 모두 불타에게 공향하는 것임. ▲만선동귀집중. 지공(志公)이 이르되 고재(苦哉)라, 애재(哀哉)라, 원왕(怨枉; 冤枉)하나니 진불을 버리고 조상(造像)하여 향화(香華)로 공양하며 복을 구하니 6적(賊)의 가장(枷杖)을 면하지 못한다.
) -->
【香火因緣】 古人盟誓 多設香火告神 故佛家謂彼此契合曰香火因緣 ▲無異廣錄二 僧問 近闡宗猷 旣非臨濟潙仰 不是法眼雲門 未審 香火因緣 從誰結得 師云 渡河落影子
향화인연(香火因緣) 고인은 맹서하면서 많이 향화를 시설하고 신에 고한지라 고로 불가에서 이르기를 피차 계합함을 가로되 향화인연이라 함. ▲무이광록2. 중이 묻되 최근에 종유(宗猷)를 천명(闡明)하면서 이미 임제와 위앙이 아니며 이 법안과 운문도 아닙니다. 미심하오니 향화인연(香火因緣)을 누구를 좇아 결득(結得)합니까. 스님이 이르되 도하(渡河)하면 그림자가 떨어진다.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66쪽 (0) | 2019.12.27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65쪽 (0) | 2019.12.2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63쪽 (0) | 2019.12.2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62쪽 (0) | 2019.12.2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61쪽 (0) | 2019.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