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66쪽

태화당 2019. 12. 27. 10:40

許可】 ①認許印可之意 謂傳授禪法而與以許可印信也 圓悟語錄十四 五祖老師 平生孤峻 少許可人 許諾 祖庭事苑七 淨業障經云 (中略)時母作計 請勇施言 數至我家 當使此女從受經法 勇施默然許可 其後勇施數到其家

허가(許可) 인허하여 인가함의 뜻. 이르자면 선법을 전수하고 허가의 인신(印信)을 줌임. 원오어록14. 오조노사(五祖老師)는 평생에 고준(孤峻)했고 사람을 허가(許可)함이 적었다. 허락. 조정사원7. 정업장경에 이르되 (중략) 때에 어미가 계략을 지어 용시(勇施)를 청하며 말하되 자주 나의 집에 이르러 마땅히 이 딸로 하여금 좇아 경법(經法)을 받게 하시오. 용시가 묵연하며 허가(許可)했다. 그 후 용시가 자주 그 집에 이르렀다.

) --> 

虛假不實之義 謂無實體 五燈會元三南泉普願 若心相所思 出生諸法 虗假不實 何以故 心尙無有 云何出生諸法

허가(虛假) 부실의 뜻. 이르자면 실체가 없음. 오등회원3 남천보원. 만약 심상(心相)에 사유한 바로 제법을 출생하면 허가(虗假)며 부실하다. 무슨 연고냐, ()도 오히려 있지 않거늘 어떻게 제법을 출생하겠는가.

) --> 

許謙(1269-1337) 字益之 號白雲山人 元代浙江省東陽市人 [百度百科] 元賢廣錄三十 劉因 金履祥 許謙 皆隱居不仕 授徒著書 其學術祖述考亭

허겸(許謙) (1269-1337) 자는 익지며 호는 백운산인이니 원대 절강성 동양시 사람 [백도백과]. 원현광록30. 유인ㆍ금리상ㆍ허겸(許謙)은 모두 은거하며 벼슬하지 않았으며 저서를 도중에게 주었다. 그들의 학술은 고정(考亭)을 조술(祖述)했다.

) --> 

虛谷元代楊岐派僧希陵的字 詳見希陵

허곡(虛谷) 원대 양기파승 희릉의 자니 상세한 것은 희릉(希陵)을 보라.

) --> 

虛谷陵元代楊岐派僧希陵 字虛谷 詳見希陵

허곡릉(虛谷陵) 원대 양기파승 희릉의 자가 허곡이니 상세한 것은 희릉(希陵)을 보라.

) --> 

虛空虛與空者 無之別稱 虛無形質 空無障礙 故名虛空 楞嚴經六 迷妄有虛空 依空立世界 想澄成國土 知覺乃衆生 空生大覺中 如海一漚發 五宗錄一臨濟 虛空不解說法聽法

허공(虛空) ()와 공()이란 것은 무()의 별칭이니 허()는 형질이 없음이며 공()은 장애가 없음인지라 고로 이름이 허공임. 릉엄경6. 미망(迷妄)으로 허공(虛空)이 있고/ 허공에 의해 세계를 건립하고/ 상징(想澄)은 국토를 이루고/ 지각(知覺)은 곧 중생이니/ 대각 중에 허공이 생겨남이/ 바다에 한 거품이 일어남과 같다. 오종록1 임제. 허공(虛空)이 설법청법(說法聽法)할 줄 알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