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憲司】 一魏晋以来 御史的别稱 二宋代官名 卽諸路提點刑獄公事 三猶上司 元代習用語 [百度百科] ▲雜毒海三 贈憲司張大使
헌사(憲司) 1. 위진(魏晋) 이래 어사(御史)의 별칭. 2. 송대의 벼슬이름이니 곧 제로(諸路)의 제점형옥공사(提點刑獄公事). 3. 상사(上司)와 같음. 원대의 습용어(習用語) [백도백과]. ▲잡독해3. 증헌사장대사(贈憲司張大使).
) -->
【獻歲】 一月的別稱 ▲入衆須知 聊旌(結制至節 解制献歲)之儀
헌세(獻歲) 1월의 별칭. ▲입중수지. 요정(聊旌)(결제지절 해제헌세)지의(之儀).
) -->
【軒乘】 緇門警訓註上 車上有蓋曰軒乘 ▲緇門警訓二 軒乘僕竪之流 几案床褥之類
헌승(軒乘) 치문경훈주상. 거사(車上)에 덮개가 있음을 가로되 헌승(軒乘)임. ▲치문경훈2. 헌승복수지류(軒乘僕竪之流)와 궤안상욕지류(几案床褥之類).
) -->
【憲安大王】 (在位857-861) 新羅國王 得法於新羅大證禪師(南嶽下三世) [傳燈錄十一 五燈全書八]
헌안대왕(憲安大王) (재위 857-861) 신라국왕이니 신라 대증선사(大證禪師; 남악하 3세)에게서 득법했음 [전등록11. 오등전서8].
【軒昂】 一高峻貌 揚起貌 二形容精神飽滿 氣度不凡 三驕傲貌 四寬敞 宏大 ▲曇華語錄十 軒昂氣宇要爭先 及早乘時痛著鞭
헌앙(軒昂) 1. 고준(高峻)한 모양. 양기(揚起)하는 모양. 2. 정신이 포만(飽滿)하고 기도(氣度)가 범상치 않음을 형용. 3. 교오(驕傲)한 모양. 4. 관창(寬敞; 앞이 탁 트여 넓음). 굉대(宏大). ▲담화어록10. 헌앙(軒昂)한 기우(氣宇)로 선두를 다툼을 요하나니 그리고 일찍 탔을 때 통렬히 채찍을 가하라.
) -->
【獻蘊】 五代後晉曹洞宗僧 京兆(陝西西安)人 靑林師虔法嗣 初作園頭 出世南嶽 遷夾山 道由潭州 楚王馬氏出迎供養 尋至襄州創石門寺 振興道風 應機時多稱好大哥 時稱大哥和尙 [傳燈錄二十 聯燈會要二十五]
헌온(獻蘊) 오대 후진 조동종승. 경조(섬서 서안) 사람. 청림사건(靑林師虔)의 법사. 처음에 원두(園頭)가 되었고 남악에서 출세했고 협산으로 옮기는데 길이 담주를 경유하자 초왕(楚王) 마씨가 출영(出迎)하여 공양했음. 이윽고 양주에 이르러 석문사(石門寺)를 창건하고 도풍을 진흥(振興)했음. 응기(應機)할 때 많이 일컫기를 호대가(好大哥)라 한지라 당시에 호칭이 대가화상(大哥和尙)이었음 [전등록20. 연등회요25].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86쪽 (0) | 2019.12.28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85쪽 (0) | 2019.12.2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83쪽 (0) | 2019.12.2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82쪽 (0) | 2019.12.2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81쪽 (0) | 2019.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