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見寄】 別人寄給自己 還有很多相似用法 比如見諒 見笑 見棄等 ▲明覺語錄六 和王殿直見寄
현기(見寄) 다른 사람이 자기에게 기급(寄給)함. 도리어 매우 많은 상사용법(相似用法)이 있으니 비교하자면 현량(見諒)ㆍ현소(見笑)ㆍ현기(見棄) 등과 같은 것임. ▲명각어록6. 화왕전직현기(和王殿直見寄; 왕전직의 見寄에 和하다).
) -->
【玄機】 唐代尼僧 景雲(710-711)中得度 曾參雪峰 常習定於大日山石窟 出世溫州淨居寺 世傳玄機乃永嘉大師女弟 甞同遊方 第所見雪峰 非義存也 未詳法嗣 [五燈會元二]
현기(玄機) 당대 니승. 경운(710-711) 중 득도했고 일찍이 설봉을 참했음. 늘 대일산 석굴에서 습정(習定)했고 온주 정거사에서 출세했음. 세간에서 전하기를 현기는 곧 영가대사(永嘉大師)의 여동생이라 하며 일찍이 함께 유방(遊方)했음. 다만(第) 뵌 바의 설봉은 의존(義存)이 아님. 법사가 미상임 [오등회원2].
) -->
【懸記】 懸者懸曠 懸遠也 遙記未來之事 謂之懸記 卽豫言也 ▲五燈會元一二十四祖師子 祖卽謂之曰 吾師密有懸記 罹難非久
현기(懸記) 현(懸)이란 것은 현광(懸曠)이니 현원(懸遠; 아주 멂)임. 미래의 일을 요기(遙記)함을 일러 현기(懸記)라 함. 곧 예언(豫言)임. ▲오등회원1 24조 사자. 조사가 곧 일러 가로되 오사(吾師)가 몰래 현기(懸記)가 있었으니 이난(罹難; 난에 걸림)이 비구(非久; 오랜 후가 아님)다.
) -->
【顯機冥益】 又作顯機冥應 法華玄義所擧冥顯四句之一 法華玄義六上曰 衆生根性百千 諸佛巧應無量 (中略)今略言爲四 一者冥機冥應 二者冥機顯應 三者顯機顯應 四者顯機冥應 ▲萬善同歸集下 修善之人 自有冥顯二益 法華玄義四句料簡 (中略)四顯機冥益 如人雖一世勤苦 現善濃積 而不顯感 冥有其利
현기명익(顯機冥益) 또 현기명응(顯機冥應)으로 지음. 법화현의에서 든 바 명현사구(冥顯四句)의 하나. 법화현의6상에 가로되 중생의 근성이 백천(百千)이라 제불의 교응(巧應)도 무량하다 (중략) 여금에 간략히 말하면 넷이 된다. 1자는 명기명응(冥機冥應)이며 2자는 명기현응(冥機顯應)이며 3자는 현기현응(顯機顯應)이며 4자는 현기명응(顯機冥應)이다. ▲만선동귀집하. 수선(修善)하는 사람은 스스로 명현(冥顯) 2익(益)이 있다. 법화현의(法華玄義)의 사구요간(四句料簡) (중략) 4. 현기명익(顯機冥益) 어떤 사람이 비록 1세(世)에 근고(勤苦)하며 현선(現善)이 농적(濃積)하더라도 현감(顯感)하지 않고 몰래(冥) 그 이익이 있음이다.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300쪽 (0) | 2019.12.28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99쪽 (0) | 2019.12.2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97쪽 (0) | 2019.12.2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96쪽 (0) | 2019.12.2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95쪽 (0) | 2019.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