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荊花】 禪林疏語考證三 續齊諧記曰 京兆人田眞兄弟三人 欲分財 庭前有紫荊花忽破爲三 明旦枯死 眞兄弟相感復合 紫荊亦茂 註 三人 田眞田廣田慶也 ▲禪林疏語考證三 荊花庭畔 常嬉春砌之風
형화(荊花) 선림소어고증3. 속제해기에 가로되 경조 사람 전진(田眞) 형제가 분재(分財)하려고 하자 뜰 앞에 있던 자형화(紫荊花)가 홀연히 파열(破裂)하더니 셋이 되었고 다음날 아침 고사(枯死)했다. 진형제가 상감(相感)하여 다시 합하자 자형화가 다시 무성했다. 주(註) 3인은 전진ㆍ전광ㆍ전경임. ▲선림소어고증3. 뜰 가의 형화(荊花)에 늘 춘체(春砌)의 바람을 기뻐한다.
) -->
【慧】 推理判斷事理之精神作用 ▲頓悟入道要門論上 問 涅槃云 定多慧少 不離無明 定少慧多 增長邪見 定慧等故 卽名解脫 其義如何 答 對一切善惡悉能分別是慧 於所分別之處不起愛憎 不隨所染是定 卽是定慧等用也
혜(慧) 사리를 추리하고 판단하는 정신작용. ▲돈오입도요문론상. 묻되 열반경에 이르되 정(定)이 많고 혜(慧)가 적으면 무명(無明)을 여의지 못하고 정이 적고 혜가 많으면 사견(邪見)을 증장(增長)하고 정혜가 제등(齊等)한 고로 곧 이름이 해탈이다 했는데 그 뜻이 무엇입니까. 답하되 일체의 선악에 대해 모두 능히 분별함은 이 혜(慧)며 분별한 바의 곳에서 애증을 일으키지 않고 소염(所染)을 따르지 않음이 이 정(定)이니 곧 이것이 정혜를 제등히 씀이다.
) -->
【慧可】 (487-593) 又作惠可 亦作僧可 東土禪宗二祖 南北朝之僧 河南洛陽人 俗姓姬 初名神光 幼時於洛陽龍門香山 依寶靜出家 於永穆寺受具足戒 早年周遊聽講 精硏孔老之學與玄理 北魏正光元年(520) 參達磨祖師於嵩山少林寺 從學六年 達磨乃傳大法竝衣鉢 師於北齊天保三年(552) 傳法僧璨 其後赴河南鄴都 演說楞伽經意 凡三十餘年 韜光晦跡 人莫能識 後於筦城縣匡救寺三門下 談無上道 聽者林會 時有辯和法師者 於寺中講涅槃經 學徒聞師闡法 稍稍引去 辯和不勝其憤 興謗于邑宰翟仲侃 仲侃惑其邪說 加師以非法 師怡然委順 時年一百七歲 卽隋文帝開皇十三(一說十二)年癸丑歲三月十六日也 唐德宗諡大祖禪師 [傳燈錄三 寶林傳八 傳法正宗記六]
혜가(慧可) (487-593) 또 혜가(惠可)로 지으며 또한 승가(僧可)로 지음. 동토선종(東土禪宗)의 2조(祖). 남북조(南北朝)의 승인이며 하남(河南) 낙양(洛陽) 사람이며 속성(俗姓)이 희(姬)며 처음의 이름은 신광(神光)이었음. 어릴 때 낙양 용문(龍門)의 향산(香山)에서 보정(寶靜)을 의지(依止)해 출가하였고 영목사(永穆寺)에서 구족계(具足戒)를 받았음. 젊은 나이에 돌아다니며 청강(聽講)하였으며 공로(孔老; 孔子와 老子)의 학문과 현리(玄理)를 정밀하게 연구했음. 북위(北魏) 정광(正光) 원년(520) 숭산(嵩山) 소림사(少林寺)에서 달마조사(達磨祖師)를 참알(參謁)해 좇아 배우기가 6년이었으며 달마가 이에 대법(大法)과 아울러 의발(衣鉢)을 전수(傳授)했음. 스님이 북제(北齊) 천보(天保) 3년(552)에 승찬(僧璨)에게 전법(傳法)했고 그 후에 하남의 업도(鄴都)에 다다라 릉가경(楞伽經)의 뜻을 연설했음. 무릇 30여 년 동안 도광회적(韜光晦跡; 빛을 감추고 자취를 어둡게 함)하여 사람들이 능히 알지 못했음. 뒤에 관성현(筦城縣)의 광구사(匡救寺) 3문(門) 아래에서 무상도(無上道)를 얘기하자 듣는 자가 숲처럼 모였음. 때에 변화법사(辯和法師)란 자가 있어 사중(寺中)에서 열반경을 강설했는데 배우는 무리가 스님의 법 여심을 듣고 조금씩 인도(引導)해 떠나자 변화가 그 분을 이기지 못해 읍재(邑宰)인 적중간(翟仲侃)에게 비방을 일으켰으며 적중간이 그 삿된 설에 현혹(眩惑)되어 스님에게 비법(非法)을 가했음. 스님이 기쁜 듯(怡然) 위순(委順; 세상을 떠남)했으며 당시의 나이가 107세였으니 곧 수(隋) 문제(文帝) 개황(開皇) 13년(一說엔 12) 계축세(癸丑歲) 3월 16일임. 당(唐) 덕종(德宗)이 시호(諡號)하여 대조선사(大祖禪師)라 했음 [전등록3. 보림전8. 전법정종기6].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377쪽 (0) | 2019.12.28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376쪽 (0) | 2019.12.2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374쪽 (0) | 2019.12.2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373쪽 (0) | 2019.12.2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372쪽 (0) | 2019.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