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慧麗】 (1586-1650) 淸代臨濟宗僧 字鐵眉 柏鄕(今屬河北)李氏 中歲從天台無盡披薙 崇禎六年(1633) 過忠州至吹萬眞處 當行堂灑掃 以吹萬拍掌三下得悟 遂自號三巴掌和尙 出住夔州華嚴 萬縣雲來及大佛 有三巴掌禪師語錄 [語錄附行狀 續燈正統十七]
혜려(慧麗) (1586-1650) 청대 임제종승. 자는 철미(鐵眉)며 백향(지금 하북에 속함) 이씨(李氏). 중세(中歲)에 천태무진(天台無盡)을 좇아 피치(披薙)했고 숭정 6년(1633) 충주를 지나가다가 취만진(吹萬眞)의 처소에 이르러 행당(行堂)의 쇄소(灑掃)를 담임(擔任; 當)했는데 취만이 세 번 박장(拍掌)함에서 깨침을 얻었고 드디어 자호(自號)하여 삼파장화상(三巴掌和尙)이라 했음. 기주 화엄ㆍ만현 운래 및 대불에서 출세했음. 삼파장선사어록이 있음 [어록부행장. 속등정통17].
) -->
【慧力】 五力之一 觀悟四諦 成就智慧 可達解脫 參五力 ▲證道歌註(彦琪) 具足五眼爲如來 卽得五力現前 一信力 二進力 三念力 四定力 五慧力 故云淨五眼得五力也
혜력(慧力) 5력의 하나. 4제(諦)를 관오(觀悟)하여 지혜를 성취해 가히 해탈에 도달함. 오력(五力)을 참조하라. ▲증도가주(언기) 5안(眼)을 구족해야 여래가 되며 곧 5력(力)이 현전함을 얻는다. 1은 신력이며 2는 진력이며 3은 염력이며 4는 정력이며 5는 혜력(慧力)이다. 고로 이르되 5안을 깨끗이 하여 5력을 얻는다.
) -->
【慧力文】 宋代雲門宗僧有文 住臨江慧力院 詳見有文
혜력문(慧力文) 송대 운문종승 유문이 임강 혜력원에 주했으니 상세한 것은 유문(有文)을 보라.
【慧力悟】 宋代曹洞宗僧 依大洪慶預受法 住臨江慧力院 [續傳燈錄二十四 普燈錄十三]
혜력오(慧力悟) 송대 조동종승. 대홍경예에게 의지해 법을 받았고 임강 혜력원에 주(住)했음 [속전등록24. 보등록13].
) -->
【慧力昌】 宋代黃龍派僧可昌住臨江慧力院 詳見可昌
혜력창(慧力昌) 송대 황룡파승 가창이 임강 혜력원에 주(住)했으니 상세한 것은 가창(可昌)을 보라.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398쪽 (0) | 2019.12.29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397쪽 (0) | 2019.12.2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395쪽 (0) | 2019.12.2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394쪽 (0) | 2019.12.2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393쪽 (0) | 2019.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