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441쪽

태화당 2019. 12. 29. 09:57

慧喜(1564-1639) 明代曹洞宗僧 俗姓劉 字心悅 號寒灰 滿城(今屬河北)人 幼年於普濟寺出家 一日閱傳燈錄有省 遂往少林 謁正道禪師(良价下三十世) 久而印證 正道寂 繼主少林寺 崇禎元年(1628) 應周王之請 入開封(今屬河南)說法 十二年(1639)冬 辭歸少林寺 [五燈全書六十二]

혜희(慧喜) (1564-1639) 명대 조동종승. 속성은 유()며 자는 심열(心悅)이며 호는 한회(寒灰)니 만성(지금 하북에 속함) 사람. 어린 나이에 보제사에서 출가했음. 어느 날 전등록을 열람하다가 성찰이 있었고 드디어 소림사로 가서 정도선사(正道禪師; 양개하 30)를 알현했고 오래되자 인증 받았음. 정도가 적()하자 소림사를 승계해 주지했음. 숭정 원년(1628) 주왕(周王)의 청에 응해 개봉(開封; 지금 하남에 속함)에 들어가 설법했음. 12(1639) 봄 사퇴하고 소림사로 회귀했음 [오등전서62].

) --> 

語氣助詞 用于句末 表示勸誡 祖堂集七雪峰 悟入且是阿誰分上事 亦須著精神好 祖堂集十長慶 太傅云 有什摩罪過 師云 亦須自撿責好

() 어기조사(語氣助詞)니 구말(句末)에 쓰며 권계(勸誡)를 표시함. 조당집7 설봉. 오입(悟入)은 또 이 누구의 분상사(分上事)인가. 또한 모름지기 정신을 붙여야 호()니라. 조당집10 장경. 태부가 이르되 무슨 죄과가 있으리오. 스님이 이르되 또한 모름지기 스스로 검책(撿責)해야 호()니라.

) --> 

浩歌放聲高歌 大聲歌唱 雜毒海二 且喜重闕俱透徹 浩歌歸去倒騎驢

호가(浩歌) 방성(放聲)하여 고가(高歌; 높은 소리로 노래하다). 큰 소리로 가창(歌唱). 잡독해2. 중궐(重闕)을 모두 투철(透徹)했음을 다만 기뻐하나니 호가(浩歌)로 돌아가면서 나귀를 거꾸로 탔다.

) --> 

胡笳曲笳 笛之類 胡人吹之爲曲 名爲胡笳曲 禪宗頌古聯珠通集三十一 白紙三張通信去 展開千里却同風 陽春轉入胡笳曲 不是風吹別調中(佛性泰)

호가곡(胡笳曲) (; 갈잎피리)는 피리 종류며 호인(胡人)이 이를 불어 곡을 만듦을 이름해 호가곡임. 선종송고연주통집31. 백지 세 장으로 통신(通信)하니/ 천 리에 도리어 동풍(同風)을 전개한다/ 양춘(陽春)이 호가곡(胡笳曲)에 전입(轉入)하니/ 이 바람이 불어 별조(別調) 가운데가 아니다 (불성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