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483쪽

태화당 2019. 12. 30. 07:33

胡子卽胡人 子 後綴 禪語中多指初祖菩提達摩 無門關胡子無鬚 或庵曰 西天胡子因甚無鬚

호자(胡子) 곧 호인(胡人). 자는 후철. 선어(禪語) 중 다분히 초조 보리달마를 가리킴. 무문관 호자무수. 혹암이 가로되 서천의 호자(胡子)는 무엇 때문에 수염이 없느냐.

) --> 

鬍子胡子 卽胡人 頌古聯珠通集三十二 追薦東村李鬍子生西天

호자(鬍子) 호자(胡子)를 가리킴. 곧 호인. 송고연주통집32. 동촌 이호자(李鬍子)가 서천에 출생하기를 추천(追薦)하다.

) --> 

胡子無鬚宗鑑法林三十四杭州淨慈水庵師一禪師(佛智裕嗣) 室中垂問 西天胡子因甚無鬚

호자무수(胡子無鬚) 종감법림34 항주 정자 수암사일선사(불지유의 법사)가 실중에서 수문(垂問)하되 서천의 호자(胡子)는 무엇 때문에 수염이 없느냐.

) --> 

胡張三黑李四胡 黑也 又稱烏張三黑李四 一般黑之意 轉爲貶人之泛稱 大慧語錄十四 問 胡張三黑李四卽不問 嘉州大像鼻孔長多少 師云 長二百來丈

호장삼흑리사(胡張三黑李四) ()는 흑()이니 또 일컫기를 오장삼흑리사(烏張三黑李四)라 함. 일반으로 흑()의 뜻이며 전()하여 사람을 폄하함의 범칭(泛稱)이 됨. 대혜어록14. 묻되 호장삼흑리사(胡張三黑李四)는 곧 묻지 않습니다. 가주대상(嘉州大像)의 콧구멍은 길이가 얼마입니까. 스님이 이르되 길이가 이백래장(二百來丈; 는 조사)이다.

) --> 

胡長孺(1249-1323) 元代居士 字汲仲 號石塘 永康(今屬浙江)人 博學强記 受業靑田余學古 得朱子之傳 時人歸之 閱內典 從中峰本遊 著大同論 匯通儒佛 至元二十五年(1365) 任揚州敎授 後引疾歸 隱居杭之虎林山寂 [元史一九佛法金湯編十六 宗統編年二十七]

호장유(胡長孺) (1249-1323) 원대 거사. 자는 급중이며 호는 석당이니 영강(지금 절강에 속함) 사람. 박학강기했고 청전(靑田) 여학고(余學古)에게 수업(受業)했으며 주자(朱子)의 전수를 얻었으며 시인(時人)이 귀부(歸附)했음. 내전을 열람했고 중봉본(中峰本)을 좇아 교유했음. 대동론(大同論)을 지었는데 유불(儒佛)을 회통(匯通)했음. 지원 25(1365) 양주교수(揚州敎授)에 임명되었고 후에 질환을 당기며() 돌아가 항()의 호림산에 은거하다가 적()했음 [원사190. 불법금탕편16. 종통편년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