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胡諍】 胡亂諍 參胡亂 ▲普菴印肅語錄一 如今大有心顚倒 夢寐胡諍學道人
호쟁(胡諍) 호란(胡亂)하게 쟁론(諍論)함. 호란을 참조하라. ▲보암인숙어록1. 여금에 다시 어떤 이는(大有) 마음이 전도하여 몽매(夢寐)하게 학도인(學道人)과 호쟁(胡諍)한다.
) -->
【胡適】 (1891-1962) 安徽績溪人 字適之 曾留學美國 爲民國以來蜚聲中外之思想家 曾得三十五個名譽博士學位 歷任北京大學敎授 文學院長校長 駐美大使 臺灣中央硏究院院長等職 民國十五年(1926) 於法國巴黎國立圖書館 英國大英博物館硏究敦煌文獻 發現大量初期禪宗史之文獻 有關之硏究論著 有菩提達摩考 禪學古史考 跋曹溪大師別傳 神會和尙遺集 楞伽集考等專論 民國五十一年歿 世壽七十二 平生著述繁富 除上記外 另有嘗試集 白話文學史 水經注 四十自述等書 現有胡適文存四卷 胡適手稿十卷行世 其主要佛學硏究論著 於其歿後 被彙編爲胡適禪學案一書
호적(胡適) (1891-1962) 안휘 적계 사람이며 자는 적지(適之). 일찍이 미국에 유학(留學)했고 민국 이래로 중외(中外)에 비성(蜚聲; 揚名)한 사상가가 됨. 일찍이 35개의 명예박사 학위를 얻었음. 북경대학교수ㆍ문학원장교장(文學院長校長)ㆍ주미대사 대만중앙연구원원장 등의 직책을 역임(歷任)했음. 민국 15년(1926) 법국(法國) 파리국립도서관과 영국 대영박물관에서 돈황문헌을 연구했는데 대량의 초기 선종사의 문헌을 발현(發現)했음. 유관한 연구 논저에 보리달마고(菩提達摩考)ㆍ선학고사고(禪學古史考)ㆍ발조계대사별전(跋曹溪大師別傳)ㆍ신회화상유집(神會和尙遺集)ㆍ릉가집고(楞伽集考) 등의 전론(專論)이 있음. 민국 51년에 죽었고 세수는 72. 평생에 저술이 번부(繁富)했으니 상기(上記)를 제한 밖에 따로 상시집ㆍ백화문학사ㆍ수경주ㆍ사십자술 등의 서책이 있음. 현재 호적문존 4권과 호적수고 10권이 있어 행세함. 그의 주요한 불학연구 논저는 그가 죽은 후에 호적선학안(胡適禪學案) 1서(書)로 휘편(彙編)됨을 입었음.
) -->
【蒿箭子】 以蓬蒿製作之箭 子 後綴 ▲聯燈會要二十七福昌惟善 有僧來 畫一圓相 師便喝云 野狐精 僧作擲勢 以脚拶之者三 師云 蒿箭子
호전자(蒿箭子) 봉호(蓬蒿; 쑥)로 제작한 화살. 자는 후철. ▲연등회요27 복창유선. 어떤 중이 와서 1원상을 그었다. 스님이 곧 할(喝)하고 이르되 야호정(野狐精)아. 중이 던지는 형세를 짓고 발로 그것을 짓누른 게 세 번이었다. 스님이 이르되 호전자(蒿箭子)다.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487쪽 (0) | 2019.12.30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485쪽 (0) | 2019.12.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483쪽 (0) | 2019.12.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482쪽 (0) | 2019.12.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481쪽 (0) | 2019.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