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01쪽

태화당 2019. 12. 30. 07:59

渾淪又作渾崙 詳見渾崙 列子天瑞 氣形質具而未相離 故曰渾淪 宏智廣錄一 鳥道須知擧足難 玄機不許絲頭掛 同中有異異中同 徹底渾淪無縫罅 了堂惟一語錄二 楊岐栗棘蓬 切忌渾淪呑

혼륜(渾淪) 또 혼륜(渾崙)으로 지음. 상세한 것은 혼륜(渾崙)을 보라. 열자 천서(天瑞). ()와 형질(形質)이 구비되었으나 서로 분리되지 않으므로 고로 가로되 혼륜(渾淪)이다. 굉지광록1. 조도(鳥道)엔 반드시 발을 들기 어려운 줄 알아야 하고 현기(玄機)엔 사두(絲頭)도 걺을 허락하지 않는다. 동중(同中)에 이()가 있고 이중(異中)에 동()이니 철저히 혼륜(渾淪)하여 꿰맨 틈이 없다. 요당유일어록2. 양기의 율극봉(栗棘蓬)은 혼륜(渾淪)히 삼킴을 절기(切忌)한다.

) --> 

渾圇又作渾崙 詳見渾崙 列祖提綱錄三十四千巖長 大地渾圇黑漆鉢 呑吐虗空口門濶

혼륜(渾圇) 또 혼륜(渾崙)으로 지음. 상세한 것은 혼륜(渾崙)을 보라. 열조제강록34 천암장. 대지가 혼륜(渾圇)하여 흑칠발(黑漆鉢)이니 허공을 삼키고 토하며 구문(口門)이 넓다.

) --> 

渾侖又作渾崙 詳見渾崙 禪門拈頌集第一二三則 本然居士頌 沒縫鏬忒渾侖 佛一字麻三斤 秤頭不立蠅 禪人子細秤

혼륜(渾侖) 또 혼륜(渾崙)으로 지음. 상세한 것은 혼륜(渾崙)을 보라. 선문염송집 제1230. 본연거사가 송하되 꿰맨 틈이 없이 매우() 혼륜(渾侖)함은/ ()이란 1자와 마삼근(麻三斤)이다/ 칭두(秤頭)에 파리도 서지 않았으니/ 선인(禪人)이 자세히 저울질하라.

) --> 

渾崙無縫罅喩指吾人本具之佛性圓滿無缺 偃溪廣聞語錄上 一句絶離微 渾崙無縫罅

혼륜무봉하(渾崙無縫罅) 우리들 사람이 본래 갖춘 불성이 원만무결(圓滿無缺)함을 비유로 가리킴. 언계광문어록상. 1구가 이미(離微)를 단절했고 혼륜(渾崙)하여 봉하(縫罅; 꿰맨 틈)가 없다.

) --> 

渾崙提唱超越詮解分別的本色指示 參渾崙 祖堂集十三招慶 渾崙提唱 學人根思遲迴 曲運慈悲 開一線道

혼륜제창(渾崙提唱) 전해(詮解)와 분별을 초월한 본색의 지시. 혼륜(渾崙)을 참조하라. 조당집13 초경. 혼륜히 제창(渾崙提唱)하면 학인의 근사(根思)가 지회(遲迴; 망설여 결행하지 못함)하니 자비를 곡운(曲運; 자세히 운전)하여 일선도(一線道)를 여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