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洪旭】 淸代臨濟宗僧 字晦岳 蘄水(湖北蘄春)王氏 七歲禮萬福心剃染 參山鐸眞在於華桂 命看萬法歸一話 久之有省 南下遍訪吳越知識 嘉興縉紳請住金明寺 有語錄八卷 [五燈全書一〇二補遺]
홍욱(洪旭) 청대 임제종승. 자는 회악이며 기수(호북 기춘) 왕씨. 7세에 만복심을 예알하여 체염(剃染)했음. 산탁진재(山鐸眞在)를 화계에서 참하자 명하여 만법귀일화(萬法歸一話)를 간(看)하게 했고 오래되자 깨침이 있었음. 남하하여 오월(吳越)의 지식을 편방(遍訪)했고 가흥 진신(縉紳)의 청으로 금명사에 주(住)했음. 어록 8권이 있음 [오등전서102보유].
) -->
【洪雲】 淸代臨濟宗僧 字石源 麻城(今屬湖北)周氏 禮興善戒祝髮 謁禪通昰圓具 首參天界盛 旋南下見弘覺 古南 報恩諸老 後旋里參廣敎天章玉 久之獲肯 是冬隱居大石山福林故址 遷石門黃荊庵 輯五宗聯璧 過華桂與山鐸眞在相見 機緣契 承印可 住黃州龍泉 新安龍興 [五燈全書一〇二補遺]
홍운(洪雲) 청대 임제종승. 자는 석원(石源)이며 마성(지금 호북에 속함) 주씨. 흥선계를 예알하여 머리를 깎았고 선통하를 배알하여 원구(圓具)했음. 처음 천계성을 참했고 이윽고 남하하여 홍각ㆍ고남ㆍ보은 제로(諸老)를 참견했음. 후에 향리로 선회하여 광교 천장옥(天章玉)을 참해 오래되자 획긍(獲肯)했음. 이 겨울에 대석산 복림 고지(故址)에 은거했다가 석문 황형암으로 옮겨 오종연벽(五宗聯璧)을 집록했음. 화계(華桂)에 이르러(過) 산탁진재(山鐸眞在)와 상견하여 기연이 계합했고 인가를 승수(承受)했음. 황주 용천ㆍ신안 용흥에 거주했음 [오등전서102보유].
) -->
【弘願】 弘大之誓願 ▲五燈會元十九比部孫居士 弘願深廣 利濟羣生
홍원(弘願) 홍대(弘大)한 서원. ▲오등회원19 비부손거사. 홍원(弘願)이 깊고 넓으며 군생을 이제(利濟)하다.
) -->
【弘垣】 (1581-1643) 明代臨濟宗僧 字澹予 姑蘇(江蘇蘇州)朱氏 狀貌豐碩 有玉彌勒之稱 十歲出家於太倉聖像寺 苦志參究 年十九謁雲棲 問如何是佛 棲笑而不答 頗疑 往謁三峰法藏 乃契玄旨 住杭州皋亭顯寧寺 [五燈全書六十九 正源略集五 光緖三峰寺志四]
홍원(弘垣) (1581-1643) 명대 임제종승. 자는 담여(澹予)며 고소(강소 소주) 주씨. 상모(狀貌)가 풍석(豐碩)하여 옥미륵(玉彌勒)의 칭호가 있음. 10세에 태창 성상사에서 출가했고 고지(苦志)로 참구했음. 나이 19에 운서(雲棲)를 예알하여 묻되 무엇이 이 부처입니까. 운서가 웃으며 답하지 않자 자못 의심했음. 삼봉법장(三峰法藏)을 왕알(往謁)하여 이에 현지(玄旨)에 계합했고 항주 고정 현녕사에 주(住)했음 [오등전서69. 정원약집5. 광서삼봉사지4].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33쪽 (0) | 2019.12.30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32쪽 (0) | 2019.12.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30쪽 (0) | 2019.12.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29쪽 (0) | 2019.12.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28쪽 (0) | 2019.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