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弘濟禪師】 唐代僧行思的諡號 詳見行思
홍제선사(弘濟禪師) 당대승 행사의 시호. 상세한 것은 행사(行思)를 보라.
【洪濟演】 淸代臨濟宗僧行演 字洪濟 詳見行演
홍제연(洪濟演) 청대 임제종승 행연의 자가 홍제니 상세한 것은 행연(行演)을 보라.
) -->
【紅糟】 五味粥又稱紅糟 謂禪家於十二月初八(臘八)之佛成道日 混雜五穀衆味而成之粥 ▲敕修淸規七月分須知 十二月初八日 佛成道 庫司預造紅糟
홍조(紅糟) 오미죽(五味粥)을 또 일컬어 홍조라 함. 이르자면 선가에서 12월 초8(납8)의 불성도일에 오곡의 중미(衆味)를 혼잡(混雜)하여 만드는 죽임. ▲칙수청규7 월분수지. 12월 초8일. 불성도. 고사(庫司)가 미리 홍조(紅糟)를 만든다.
) -->
【洪造】 猶洪恩 ▲圓悟語錄三 遠稟一人洪造 特資宰輔陶鎔
홍조(洪造) 홍은(洪恩)과 같음. ▲원오어록3. 멀리 1인의 홍조(洪造)를 받고 특별히 재보(宰輔)의 도용(陶鎔)을 도운다.
) -->
【弘照大師】 唐代僧靈訓的諡號 詳見靈訓
홍조대사(弘照大師) 당대승 영훈의 시호니 상세한 것은 령훈(靈訓)을 보라.
) -->
【洪宗】 淸代臨濟宗僧 字心禪 無錫(今屬江蘇)顧氏 請益安化世高則 則屢加痛棒 遂別築文星閣室 晨夕刻責 至忘寢食 一晩聞鐘聲有省 則爲印可 後開法神京南泉寺 [五燈全書一〇二補遺]
홍종(洪宗) 청대 임제종승. 자는 심선이며 무석(지금 강소에 속함) 고씨. 안화 세고칙(世高則)에게 청익했는데 칙(則)이 누차 통방(痛棒)을 가했음. 드디어 문성각실(文星閣室)을 따로 축조하여 신석(晨夕)으로 각책(刻責; 가혹하게 꾸짖음)했고 침식을 잊기에 이르렀음. 어느 날 저녁 종소리를 듣고 성찰이 있었고 칙이 인가했음. 후에 신경 남천사에서 개법했음 [오등전서102보유].
) -->
【弘宗】 淸代曹洞宗僧 字壁山 南寧(今屬廣西)謝氏 九歲禮天寧恒轉爲師 年十六侍恒出嶺 歷衡陽花藥 臨淸大藏 上廬江冶父 參星朗雄 雄命入堂打七 第三日 跌於地 豁然疑消 康熙(1644-1722)初受法 後衆請繼席 [廩山正燈錄]
홍종(弘宗) 청대 조동종승. 자는 벽산(壁山)이며 남녕(지금 광서에 속함) 사씨. 9세에 천녕항전을 예알하여 스승으로 삼았음. 나이 16에 항전을 모시고 출령(出嶺)하여 형양 화약ㆍ임청 대장을 유력(遊歷)했음. 여강 야보(冶父)에 올라 성랑웅(星朗雄)을 참하자 웅이 명하여 입당(入堂)하여 타칠(打七)했음. 제3일 땅에 미끄러지면서 활연(豁然)히 의혹이 사라졌고 강희(1644-1722) 초 수법(受法)했음. 후에 대중의 요청으로 계석(繼席)했음 [늠산정등록].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42쪽 (0) | 2019.12.30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41쪽 (0) | 2019.12.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39쪽 (0) | 2019.12.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38쪽 (0) | 2019.12.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37쪽 (0) | 2019.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