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洪徧】 淸代臨濟宗僧 字身雲 蘇州(今屬江蘇)人 丱歲脫白 禮三昧受具 叩荊溪請益禪要 次參柏山素弘理 刻究話頭 後聞虎聲有悟 一日辭理 乞錄稿梓行 刻竣仍回 侍寮奉理 終焉 [五燈全書一〇二補遺]
홍편(洪徧) 청대 임제종승. 자는 신운(身雲)이며 소주(지금 강소에 속함) 사람. 관세(丱歲; 어린 나이)에 탈백했고 삼매를 참례하고 수구(受具)했음. 형계에게 고문(叩問)하고 선요를 청익했고 다음에 백산 소홍리(素弘理)를 참해 화두를 각구(刻究; 刻苦하며 참구)했고 후에 호랑이 소리를 듣고 깨침이 있었음. 어느 날 리(理)에게 고별하면서 녹고(錄稿)를 구걸해 재행(梓行; 刻版印行)했고 각준(刻竣; 각판을 마침)하자 그대로 회귀하여 시료(侍寮)하면서 봉리(奉理; 소홍리를 받듦)했고 마쳤음 [오등전서102보유].
) -->
【弘標】 淸代曹洞宗僧 字木庵 嗣嵩乳道密 開法廣胤 [廩山正燈錄]
홍표(弘標) 청대 조동종승. 자는 목암이며 숭유도밀을 이었고 광윤에서 개법했음 [늠산정등록].
) -->
【弘瀚】 (1630-1706) 淸代曹洞宗僧 字粟如 永豐(今屬江蘇)徐氏 年二十一棄家爲僧 師事博山雪磵 歷主瀛山 博山 時値戰亂 日見兵騎往來 慈心善口曉譬 靡不懾服 信州士民依山避亂 不下數萬 多得保全 晩年退逸獅子堂 有三會語錄 [廩山正燈錄 廣豐縣志]
홍한(弘瀚) (1630-1706) 청대 조동종승. 자는 속여(粟如)며 영풍(지금 강소에 속함) 서씨. 나이 21에 집을 버리고 승인이 되었고 박산설간(博山雪磵)을 사사(師事)했음. 영주ㆍ박산(博山)을 역주(歷主)했음. 당시에 전란을 만난지라 날마다 병기(兵騎)가 왕래함을 보았고 자심(慈心)과 선구(善口)로 효비(曉譬; 曉喩. 開導)하매 섭복(懾服)하지 않는 이가 없었음. 신주(信州)의 사민(士民)이 박산에 의지하며 피란했고 수만(數萬) 아래가 아니었으며 많이 보전(保全)을 얻었음. 만년에 사자당(獅子堂)에서 퇴일(退逸; 물러나 편안히 지냄)했음. 3회(會) 어록이 있음 [늠산정등록. 광풍현지].
) -->
【洪虛】 淸代臨濟宗僧 字從實 靜海(江蘇南通)王氏 幼禮天童通門披薙 命參一口氣不來話有省 後謁湧泉世高則甚契 隨遷大悲 服勤十載 出住邑之普度寺 [五燈全書一〇二補遺]
홍허(洪虛) 청대 임제종승. 자는 종실이며 정해(강소 남통) 왕씨. 어릴 적에 천동통문(天童通門)을 참례하여 피치(披薙)했는데 명령해 일구기불래화(一口氣不來話)를 참하게 했고 성찰이 있었음. 후에 용천 세고칙(世高則)을 참알해 심계(甚契)했으며 10재(載) 동안 복근(服勤)했음. 출세해 읍의 보도사에 주(住)했음 [오등전서102보유].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49쪽 (0) | 2019.12.30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48쪽 (0) | 2019.12.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46쪽 (0) | 2019.12.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45쪽 (0) | 2019.12.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44쪽 (0) | 2019.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