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華嚴孔目】 華嚴經內章門等雜孔目 四卷 華嚴宗二祖智儼(602-668) 六十二歲以後所作 又稱華嚴經孔目章 孔目章 收於大正藏第四十五冊 本書將六十華嚴分成一四四章 解釋六十華嚴難解之處 本書後來成爲搜玄記 華嚴一乘十玄門及法藏(643-712 智儼弟子)所撰探玄記等三書之基礎 [新編諸宗敎藏總錄一 諸宗章疏錄一 佛典疏鈔目錄上] ▲禪林疏語考證一 三障 華嚴孔目云 一皮煩惱障 二肉煩惱障 三心煩惱障
화엄공목(華嚴孔目) 화엄경내장문등잡공목(華嚴經內章門等雜孔目)이니 4권. 화엄종 2조 지엄(智儼; 602-668)이 62세 이후에 지은 것임. 또 명칭이 화엄경공목장(華嚴經孔目章)ㆍ공목장이니 대정장 제45책에 수록되었음. 본서는 60화엄을 가지고 144장(章)으로 분성(分成)하여 60화엄의 난해한 곳을 해석했음. 본서는 후래에 수현기(搜玄記) 화엄일승현문(華嚴一乘十玄門) 및 법장(法藏; 643-712. 智儼의 제자)이 찬(撰)한 바 탐현기(探玄記) 등 3서(書)의 기초가 되었음 [신편제종교장총록1. 제종장소록1. 불전소초목록상]. ▲선림소어고증1. 3장(障) 화엄공목(華嚴孔目)에 이르되 1은 피번뇌장(皮煩惱障)이며 2는 육번뇌장(肉煩惱障)이며 3은 심번뇌장(心煩惱障)이다.
) -->
【華嚴錦冠】 華嚴經錦冠鈔 四卷(或二卷) 唐代僧傳奧述 [新編諸宗敎藏總錄一] 參傳奧 ▲宗鏡錄一百 華嚴錦冠云 觀心釋大方廣佛華嚴經者 若約敎詮義 則有多門 若不攝歸一心 於我何預(云云)
화엄금관(華嚴錦冠) 화엄경금관초니 4권(혹 2권) 당대승 전오(傳奧)가 술했음 [신편제종교장총록1]. 전오(傳奧)를 참조하라. ▲종경록100. 화엄금관(華嚴錦冠)에 이르되 관심석(觀心釋)의 대방광불화엄경이란 것은 만약 약교(約敎)하여 전의(詮義)하면 곧 다문(多門)이 있다. 만약 일심으로 섭귀(攝歸)하지 않으면 아(我)에 어떻게 참예하겠는가 (운운).
) -->
【華嚴金獅子章】 一卷 唐代法藏撰 又作金師子章 大方廣佛華嚴經金師子章 收於大正藏第四十五冊 爲答唐則天武后之問 借庭前之金獅子爲喩 以顯華嚴之敎觀者 初明法界緣起 次論五敎 最後說涅槃 ▲五燈會元十二琅邪慧覺 上堂 山僧因看華嚴金師子章第九由心回轉善成門 又釋曰 如一尺之鏡 納重重之影象
화엄금사자장(華嚴金獅子章) 1권. 당대 법장(法藏)이 찬(撰)했음. 또 금사자장ㆍ대방광불화엄경금사자장으로 지으며 대정장 제45책에 수록되었음. 당 측천무후의 질문에 답하기 위해 뜰 앞의 금사자를 가차(假借)하여 비유로 삼아서 화엄의 교관(敎觀)을 나타낸 것. 처음은 법계의 연기(緣起)를 밝히고 다음은 5교를 논하고 최후에 열반을 설했음. ▲오등회원12 낭야혜각. 상당. 산승이 인하여 화엄금사자장(華嚴金師子章) 제 9 유심회전선성문을 보았는데 또 해석해 가로되 1척의 거울이 중중한 영상을 수납함과 같다 하였다.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98쪽 (0) | 2019.12.31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97쪽 (0) | 2019.12.3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94-595쪽 (0) | 2019.12.3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93쪽 (0) | 2019.12.3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92쪽 (0) | 2019.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