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火著】 火鉗 著 通箸 ▲傳燈錄八南泉普願 師在方丈與杉山向火次 師云 不用指東指西 直下本分事道來 杉山插火著叉手立
화저(火著) 화겸(火鉗; 불집게). 저(著)는 저(箸)와 통함. ▲전등록8 남천보원. 스님이 방장에 있으면서 삼산(杉山)과 불을 향하던 차에 스님이 이르되 지동지서(指東指西)를 쓰지 말고 직하에 본분사를 말하라. 삼산이 화저(火著)를 꽂고 차수(叉手)하고 섰다.
) -->
【化迹】 敎化衆生的事迹 ▲傳燈錄二第十九祖鳩摩羅多 尊者告曰 吾今寂滅時至 汝當紹行化迹 乃付法眼(紹行 繼承)
화적(化迹) 중생을 교화하는 사적(事迹). ▲전등록2 제19조 구마라다. 존자가 고해 가로되 나는 이제 적멸할 때가 이르렀다. 너는 마땅히 화적(化迹)을 소행(紹行)하라. 이에 법안을 부촉했다(紹行은 계승).
) -->
【化轉】 敎人轉惡爲善也 ▲禪林疏語考證一 統紀曰 輪以摧碾爲義 如來說法化轉物心 於法自在
화전(化轉) 사람을 교화해 악을 돌려 선을 짓게 함. ▲선림소어고증1. 통기(統紀)에 가로되 륜(輪)은 최년(摧碾; 꺾고 갊)으로 뜻을 삼는다. 여래의 설법이 물심(物心; 중생의 마음)을 화전(化轉)하면서 법에 자재하다.
【火佃】 火客亦云火佃 ▲備用淸規九 上祭資次 知事 頭首 主喪 西堂 耆舊 蒙堂 (中略)火佃 修造
화전(火佃) 화객(火客)을 또한 이르되 화전임. ▲비용청규9 상제자차(上祭資次). 지사ㆍ두수ㆍ주상ㆍ서당ㆍ기구ㆍ몽당 (중략) 화전(火佃)ㆍ수조.
) -->
【華亭】 上海松江的古稱 唐天寶十年(751) 設置華亭縣 [百度百科] ▲傳燈錄十四 華亭船子和尙名德誠 嗣藥山 甞於華亭吳江 汎一小舟 時謂之船子和尙
화정(華亭) 상해 송강(松江)의 고칭(古稱). 당 천보 10년(751) 화정현(華亭縣)을 설치했음 [백도백과]. ▲전등록14. 화정(華亭) 선자화상의 이름은 덕성이며 약산을 이었다. 일찍이 화정 오강(吳江)에서 하나의 작은 배를 띄웠으니 당시에 이르기를 선자화상이라 했다.
) -->
【花亭】 於佛誕日 爲安置佛之降生像 造小亭 以紅白之衆花交覆作瓦狀 寶蓋垂幡亦皆累花而成之者 [象器箋十九] ▲敕修淸規二佛降誕 至日 庫司嚴設花亭 中置佛降生像 於香湯盆內安二小杓
화정(花亭) 불탄일에 불타의 강생상을 안치하기 위해 소정(小亭)을 만들고 홍백(紅白)의 뭇 꽃으로 교부(交覆)하여 와상(瓦狀)을 만들며 보개(寶蓋)와 수번(垂幡)도 또한 모두 누화(累花; 꽃을 포갬)하여 이룬 것 [상기전19]. ▲칙수청규2 불강탄. 날짜에 이르면 고사(庫司)가 화정(花亭)을 엄설(嚴設)하고 가운데 불타의 강생상을 안치하고 향탕분(香湯盆) 안에 두 개의 작은 구기를 안치한다.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22쪽 (0) | 2019.12.31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21쪽 (0) | 2019.12.3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19쪽 (0) | 2019.12.3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18쪽 (0) | 2019.12.3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17쪽 (0) | 2019.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