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42쪽

태화당 2019. 12. 31. 10:38

換骨佛敎稱得道受果 傳燈錄三慧可 翌日覺頭痛如刺 其師欲治之 空中有聲曰 此乃換骨非常痛也

환골(換骨) 불교에서 득도수과(得道受果)를 일컬음. 전등록3 혜가. 다음날 찌르는 듯한 두통을 느꼈다. 그의 스승이 그것을 치료하려고 하자 공중에서 소리가 있어 가로되 이것은 곧 환골(換骨)이며 상통(常痛)이 아닙니다.

) --> 

換骨靈方謂轉凡成聖之靈妙藥方 [碧巖錄序種電鈔] 碧巖錄序 至聖命脈 列祖大機 換骨靈方 頤神妙術

환골령방(換骨靈方) 이르자면 범부를 굴려 성인을 이루는 영묘한 약방 [벽암록서종전초]. 벽암록서. 지성(至聖)의 명맥과 열조(列祖)의 대기(大機)는 환골하는 영방(換骨靈方)이며 이신(頤神; 정신을 기름)하는 묘술(妙術)이다.

) --> 

皖公山位於安徽省舒州懷寧縣西北 又稱皖山 寶誌曾住此隱居 又三祖僧璨 避北周武帝排佛之難而隱居 故稱三祖山 於其遺蹟 有山谷寺 [大明一統志十四 大淸一統志七十六]

환공산(皖公山) 안휘성 서주 회녕현 서북에 위치함. 또 명칭이 환산(皖山)이니 보지(寶誌)가 일찍이 여기에 거주하면서 은거했음. 3조 승찬이 북주(北周) 무제의 배불지난(排佛之難)을 피해 은거한지라 고로 명칭이 삼조산(三祖山). 그 유적(遺蹟)에 산곡사가 있음 [대명일통지14. 대청일통지76].

) --> 

桓寬生卒年不詳 字次公 漢代汝南郡(今河南上蔡西南)人 治公羊春秋 宣帝時擧爲郞 後官至廬江太守丞 其知識廣博 善爲文 著有鹽鐵論六十篇 [百度百科] 鐔津文集七 桓寬之言 趨公也

환관(桓寬) 생졸년은 불상이며 자는 차공이니 한대(漢代) 여남군(지금의 하남 상채 서남) 사람. 공양춘추(公羊春秋)를 치리(治理)했고 선제(宣帝) 시 천거되어 낭()이 되었음. 후에 벼슬이 여강 태수승(太守丞)에 이르렀음. 그의 지식이 광박했고 잘 문장을 지었으며 저서에 염철론(鹽鐵論) 60편이 있음 [백도백과]. 심진문집77. 환관(桓寬)의 말은 공()을 쫓았다.

) --> 

闤闠街市 街道 五燈會元四鎭州普化 師甞於闤闠間搖鐸唱曰 覔箇去處不可得

환궤(闤闠) 가시(街市). 가도. 오등회원4 진주보화. 스님이 일찍이 환궤(闤闠) 사이에서 방울을 흔들며 창()해 가로되 거처(去處)를 찾으면 가히 얻지 못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