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還】 表示語氣 加强反問 ▲汾陽語錄上 而今還有擊鼓者 有卽出來 ▲古尊宿語錄一百丈懷海 山下有一虎子 汝還見麽 ▲五燈會元四平田普岸 你還曾見我嫂也未
환(還) 어기(語氣)를 표시하며 반문(反問)을 가강(加强)함. ▲분양어록상. 이금(而今)에 도리어(還) 북을 칠 자가 있느냐. 있다면 곧 나오너라. ▲고존숙어록1 백장회해. 산 아래 한 마리 호자(虎子; 범)가 있는데 네가 도리어(還) 보았느냐. ▲오등회원4 평전보안. 네가 도리어(還) 일찍이 나의 아주머니(嫂)를 보았느냐 또는 아니냐.
) -->
【患謇】 意謂口不淸淨 謇 口吃 ▲祖堂集十一保福 師問僧 我尋常道 莫道道不得 設而道得十成 猶是患謇 旣道得十成 爲什摩却成患謇
환건(患謇) 뜻으로 이르면 입이 청정하지 못함. 건(謇)은 구흘(口吃; 말을 떠듬거리다). ▲조당집11 보복. 스님이 중에게 묻되 내가 심상(尋常)에 말하기를 말함을 얻지 못한다고 말하지 말아라 설령 십성(十成)을 말해 얻더라도 오히려 이는 환건(患謇)이다. 이미 십성을 말해 얻었거늘 무엇 때문에 도리어 환건을 이루느냐.
) -->
【環溪】 宋末元初楊岐派僧惟一的法號 詳見惟一
환계(環溪) 송말원초 양기파승 유일의 법호니 상세한 것은 유일(惟一)을 보라.
) -->
【環溪惟一禪師語錄】 二卷 宋代楊岐派僧環溪惟一述 覺此編 寶永八年刊 又稱環溪和尙語錄 卷首載序 卷上 從住建寧府瑞嚴禪寺 迄慶元府太白名山天童景德禪寺之九會語錄 卷下 小參 拈古 頌古 普說 法語 佛祖讚 偈頌 題跋 小佛事 自讚 卷末附行狀及跋 今收錄於卍續藏第一二二冊
환계유일선사어록(環溪惟一禪師語錄) 2권. 송대 양기파승 환계유일이 술(述)했고 각차가 편(編)했고 보영 8년(1711) 간행했음. 또 명칭이 환계화상어록. 권수에 서가 실렸음. 권상은 건녕부 서엄선사에 주(住)함으로부터 경원부 태백명산 천동경덕선사에 이르기까지 9회(會)의 어록. 권하는 소참ㆍ염고ㆍ송고ㆍ보설ㆍ법어ㆍ불조찬ㆍ게송ㆍ제발ㆍ소불사ㆍ자찬. 권말에 행장 및 발이 부록되었음. 지금 만속장 제122책에 수록되었음.
) -->
【環溪一】 宋代楊岐派僧惟一 字環溪 詳見惟一
환계일(環溪一) 송대 양기파승 유일의 자가 환계니 상세한 것은 유일(惟一)을 보라.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43쪽 (0) | 2019.12.31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42쪽 (0) | 2019.12.3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40쪽 (0) | 2019.12.3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39쪽 (0) | 2019.12.3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38쪽 (0) | 2019.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