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黃檗禮佛】 五燈會元四黃檗希運 師在鹽官殿上禮佛次 時唐宣宗爲沙彌 問曰 不著佛求 不著法求 不著僧求 長老禮拜 當何所求 師曰 不著佛求 不著法求 不著僧求 常禮如是事 彌曰 用禮何爲 師便掌 彌曰 大麤生 師曰 這裏是甚麽所在 說麤說細 隨後又掌
황벽례불(黃檗禮佛) 오등회원4 황벽희운. 스님이 염관(鹽官)의 전상(殿上)에서 예불하던 차였다. 때에 당선종(唐宣宗)이 사미가 되었는데 물어 가로되 부처에 집착해 구하지 않으며 법에 집착해 구하지 않으며 승(僧)에 집착해 구하지 않는다 했는데 장로는 예배하여 마땅히 무엇을 구하는 바입니까. 스님이 가로되 부처에 집착해 구하지 않으며 법에 집착해 구하지 않으며 승(僧)에 집착해 구하지 않으면서 늘 이와 같은 일에 예배한다. 사미가 가로되 예배를 써서 무엇하리오. 스님이 바로 손바닥으로 쳤다. 사미가 가로되 대추생(大麤生; 너무 거칠다)입니다. 스님이 가로되 이 속에 이 무엇이 소재(所在)한다고 추를 설하고 세를 설하느냐, 뒤따라 또 손바닥으로 쳤다.
【黃檗無念禪師復問】 六卷 明代無念深有撰 參學比丘明聞刪訂 天啓五年(1625)刊行 卷首載袁宗道之醒昏錄原序 顧起元之復問原序 卷一至三 復問 卷四 醒昏錄 卷五六 小傳 偈 寺記 塔文 行由 禮懺文等 今收錄於嘉興藏第二○冊
황벽무념선사복문(黃檗無念禪師復問) 6권. 명대 무념심유(無念深有)가 찬(撰)했고 참학비구 명문이 산정(刪訂)했고 천계 5년(1625) 간행했음. 권수에 원종도의 성혼록원서(醒昏錄原序)와 고기원의 복문원서(復問原序)가 실렸음. 권1에서 3에 이르기까지는 복문(復問). 권4는 성혼록. 권5, 6은 소전ㆍ게ㆍ사기ㆍ탑문ㆍ행유ㆍ예참문 등. 지금 가흥장 제20책에 수록되었음.
) -->
【黃蘗問事】 黃檗卽希運 請益錄第六十一則黃蘗問事 黃蘗問百丈 從上相承底事 如何指示於人 丈踞坐 蘗云 後代兒孫 將何傳授 丈云 將爲你是箇人 便歸方丈
황벽문사(黃蘗問事) 황벽은 곧 희운. 청익록 제61칙 황벽문사(黃蘗問事). 황벽이 백장에게 물었다. 종상(從上)에 상승(相承)하는 일을 어떻게 사람에게 지시하시렵니까. 백이 거좌(踞坐; 자리에 기댐)했다. 황벽이 이르되 후대 아손이 무엇을 가지고 전수합니까. 백장이 이르되 장차 네가 시개인(是箇人)인가 한다. 바로 방장으로 돌아갔다.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88쪽 (0) | 2020.01.01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87쪽 (0) | 2020.01.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85쪽 (0) | 2020.01.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84쪽 (0) | 2020.01.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83쪽 (0) | 2020.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