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84쪽

태화당 2020. 1. 1. 08:43

黃白器物指金銀 宗門武庫云 入塔時門人恐平(指大陽平)將不利於師(明安) 遂作李和文都尉所施黃白器物 書於塔銘 而實無也

황백기물(黃白器物) 금은을 가리킴. 종문무고에 이르되 입탑(入塔)할 때 문인(門人), (; 大陽平을 가리킴)이 장차 스님(明安)에게 불리(不利)하게 할까 염려하여 드디어 이문화도위(李和文都尉)가 보시한 바의 황백기물(黃白器物)만들었다고 탑명에 서사했지만 실로는 없었다.

) --> 

黃番綽見黃幡綽 大慧語錄五 楊岐一頭驢 只有三隻脚 潘閬倒騎歸 攧殺黃番綽

황번작(黃番綽) 황번작(黃幡綽)을 보라. 대혜어록5. 양기의 한 마리 나귀는 다만 3()의 다리가 있다. 반랑(潘閬)이 거꾸로 타고 돌아가매 황번작(黃番綽)을 심히 넘어지게 한다.

) --> 

黃幡綽又作黃番綽 唐代俳優也 善滑稽戱謔 開元(713-740)初入宮中 侍玄宗三十年 按樂府雜錄 開元中 黃幡綽 張野狐弄參軍 始自後漢館陶令石耽 耽有贓犯 和帝惜其才 免罪 每宴樂 卽令衣白夾衫 命優伶戲弄辱之 經年乃放 大慧語錄十 楊岐一頭驢 只有三隻脚 潘閬倒騎歸 攧殺黃幡綽

황번작(黃幡綽) 또 황번작(黃番綽)으로 지음. 당대(唐代) 배우(俳優)며 골계(滑稽; 유머. 익살)의 희학(戱謔; 실없는 말로 하는 농지거리)을 잘했음. 개원(713-740) 초 궁중에 들어가 현종을 30년 동안 모셨음. 악부잡록(樂府雜錄)을 안험컨대 개원(開元) 중 황번작과 장야호(張野狐)가 참군(參軍; 參軍戱)을 희롱했는데 후한 관도령(館陶令) 석탐(石耽)으로부터 비롯했다. 석탐이 장범(贓犯)이 있었는데 화제(和帝)가 그 재능을 아껴 면죄하고 매번 연악(宴樂)에 곧 백협삼(白夾衫)을 입게 하고 우령희(優伶戲)를 명해 그를 농욕(弄辱)했다. 경년(經年; 해가 지남)하자 이에 방면했다. 대혜어록10. 양기의 한 마리 나귀는 다만 3()의 다리가 있다. 반랑(潘閬)이 거꾸로 타고 돌아가매 황번작(黃幡綽)을 심히 넘어지게 한다.

) --> 

黃檗又作黃蘗 黃檗山 見黃檗山 唐代僧黃檗希運 見希運 木名 宋 曾慥類說 古人書寫 皆用黃紙 以檗染之 所以辟蠹 故曰黃卷 五燈會元十羅漢守仁 甘草甜 黃蘗苦

황벽(黃檗) 또 황벽(黃蘗)으로 지음. 황벽산. 황벽산(黃檗山)을 보라. 당대승 황벽희운이니 희운(希運)을 보라. 나무 이름. () 증조(曾慥) 유설(類說). 고인이 서사하면서 모두 황지를 사용했는데 황벽으로 그것을 물들였음은 좀을 물리치는 소이(所以)였다. 고로 가로되 황권(黃卷)이다. 오등회원10 라한수인. 감초는 달고 황벽(黃蘗)은 쓰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