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黃帝內經】 分靈樞素問兩部分 是中國最早的醫學典籍 傳統醫學四大經典著作之一(其餘三者爲難經 傷寒雜病論 神農本草經) ▲御選語錄十三雲棲蓮池 黃帝內經明大惑之病 謂目中無端忽有所見是也
황제내경(黃帝內經) 영추(靈樞)와 소문(素問) 두 부분으로 나뉘었음. 이는 중국 최조(最早)의 의학 전적이니 전통의학 4대(大) 경전 저작의 하나(그 나머지 셋이란 것은 난경ㆍ상한잡병론ㆍ신농본초경). ▲어선어록13 운서연지. 황제내경(黃帝內經)에 대혹(大惑)의 병을 밝혔으니 이르자면 눈 속에 무단히 홀연히 보이는 바가 있음이 이것이다.
) -->
【黃鐘】 十二律之第一 六律之一 配十一月 參律呂 ▲五燈全書七十五法幢幟 小參 復月初一 黃鐘應律 餘二非眞 唯此事實 珍重
황종(黃鐘) 12율의 제1. 6률의 하나. 11월에 짝함. 률려(律呂)를 참조하라. ▲오등전서75 법당치. 소참. 다시 월의 초1이니 황종(黃鐘)이 응률(應律)한다. 나머지 둘은 진(眞)이 아니며 오직 차사(此事)가 실(實)이다. 진중(珍重)하라.
【黃鍾宮】 亦作黃鐘宮 宮調名 新唐書禮樂志十二 正宮 高宮 中呂宮 道調宮 南呂宮 仙呂宮 黃鍾宮爲七宮 [百度百科] ▲頌古聯珠通集十五 吹盡風流大石調 唱出富貴黃鍾宮
황종궁(黃鍾宮) 또 황종궁(黃鐘宮)으로 지음. 궁조(宮調)의 이름. 신당서 예악지12. 정궁ㆍ고궁ㆍ중려궁ㆍ도조궁ㆍ남려궁ㆍ선려궁ㆍ황종궁이 7궁(宮)이 된다 [백도백과]. ▲송고연주통집15. 풍류의 대석조(大石調)를 불어 다하고 부귀의 황종궁(黃鍾宮)을 창하여 내다.
) -->
【黃鐘大呂】 黃鐘是樂器 具有六律(陽聲)六呂(陰聲)之基本音 其中大呂乃十二音中 最高最美之音聲 ▲虛堂語錄四 達磨祖師自西天歷十萬里水雲 而至此土 首對梁主 奏以黃鐘大呂之聲
황종대려(黃鐘大呂) 황종(黃鐘)은 이 악기며 6률(律; 陽聲)과 6려(呂; 陰聲)의 기본음을 갖추고 있음. 그 중 대려(大呂)는 곧 12음 중 최고최미(最高最美)의 음성임. ▲허당어록4. 달마조사가 서천으로부터 십만 리의 수운(水雲)을 경력하며 이 국토에 이르러 처음 양주(梁主)를 상대로 황종대려(黃鐘大呂)의 소리로 아뢰었다.
) -->
【黃州】 今湖北省黃岡
황주(黃州) 지금의 호북성 황강.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05쪽 (0) | 2020.01.01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04쪽 (0) | 2020.01.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01쪽 (0) | 2020.01.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00쪽 (0) | 2020.01.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99쪽 (0) | 2020.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