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皇州】 帝都 京城 ▲空谷集第九十九則 非同春色空媚皇州
황주(皇州) 제도(帝都). 경성. ▲공곡집 제99칙. 같은 춘색이 아니거늘 황주(皇州)에서 공연히 미소(媚笑)한다.
) -->
【黃州安】 唐代僧齊安于黃州弘揚禪法 世稱黃州安 以別于鹽官齊安 詳見齊安
황주안(黃州安) 당대승 제안이 황주에서 선법을 홍양했고 세칭이 황주안이니 염관제안(鹽官齊安)과 다름. 상세한 것은 제안(齊安)을 보라.
) -->
【黃中】 心臟 內德 以五色配五行五方 土居中 故爲黃爲中央正色 心居五臟之中 故稱黃中 [百度漢語] ▲緇門警訓註下 文言云 君子黃中通理 正位居體 美在其中 ▲緇門警訓十 蘭護開潛深遁崇邃 皆亞迹黃中 或不測之人也
황중(黃中) 심장. 내덕(內德). 5색을 5행과 5방에 짝하면 토(土)가 가운데 거처하므로 고로 황(黃)은 중앙의 정색(正色)이 되고 심(心)은 5장(臟)의 가운데 거처하므로 고로 명칭이 황중(黃中)임 [백도한어]. ▲치문경훈주하. 문언(文言)에 이르되 군자는 황중(黃中)이 통리(通理)하며 정위(正位)가 거체(居體)하나니 미(美)가 그 가운데 있다. ▲치문경훈10. 난호개잠심둔숭수(蘭護開潛深遁崇邃; 8자는 모두 사람 이름)는 모두 황중(黃中)에 아적(亞迹)했으며 혹 추측하지 못할 사람들이다.
) -->
【荒榛】 雜亂叢生的草木 引申爲荒蕪 ▲五燈會元十五德山緣密 問 如何是佛 師曰 滿目荒榛
황진(荒榛) 잡란하게 총생(叢生; 빽백히 남)한 초목. 인신(引申; 轉義)하여 황무(荒蕪)가 됨. ▲오등회원15 덕산연밀. 묻되 무엇이 이 부처입니까. 스님이 가로되 눈 가득히 황진(荒榛)이다.
) -->
【黃泉】 人死後埋葬的地方 代指死亡 ▲祖庭事苑一 黃泉 人死歸地 黃泉深幽 此指其極 ▲禪林疏語考證三 左隱元年(前722) 莊公(鄭莊公)寘姜氏(武姜)于城潁而誓之曰 不及黃泉無相見也 旣而悔之 潁考叔爲潁谷封人 聞之有献於公 公賜之食 食舍肉 公問之 對曰 小人有母未甞君之羮 請以遺之 公曰 爾有母遺 繄我獨無 潁考叔曰 敢問何故 公語之故 且告之悔 對曰 君何患焉 若闕地及泉隧而相見 其誰曰不然 公從之 遂爲母子如初 君子曰 潁考叔純孝也 愛其母施及莊公 ▲禪林疏語考證三 魄入黃泉 孰是超昇之所 ▲五燈會元十八 黃泉無邸店 今夜宿誰家
황천(黃泉) 사람이 사후에 매장하는 지방. 사망을 대지(代指)함. ▲조정사원1. 황천(黃泉) 사람이 죽어 땅으로 돌아가면 황천이 심유(深幽)하나니 이것은 그 극(極)을 가리킴. ▲선림소어고증3. 좌전 은공(隱公) 원년(前 722) 장공(莊公; 鄭莊公)이 강씨(姜氏; 武姜)를 성영(城潁)에 두고는 맹서하여 가로되 황천(黃泉)에 이르지 않으면 상견함이 없으리라. 그러고선 이를 후회했다. 영고숙(潁考叔)이 영곡(潁谷)의 봉인(封人; 邊界를 鎭守하는 관리)이 되었는데 이를 듣고 공(公)에게 물건을 바침이 있었다. 공이 밥을 하사하자 먹으면서 고기를 내버려 두었다. 공이 이를 묻자 대답해 가로되 소인에게 어미가 있사온데 주군의 국을 맛보지 못했습니다. 청컨대 이를 남겨 주십시오. 공이 가로되 너는 남겨 줄 어머니가 있지만 아(繄는 탄식할 예), 나만 홀로 없구나. 영고숙이 가로되 감히 묻사오니 무슨 연고입니까. 공이 연고를 말하고 또 후회함을 알렸다. 대답해 가로되 주군께서 무엇을 염려하십니까. 만약 땅을 샘이 나도록 파서 무덤길(隧는 무덤길 수. 이것이 곧 황천)에서 상견하신다면 그 누가 그렇지 않다고 말하겠습니까. 공이 이를 좇아 드디어 모자가 처음과 같이 되었다. 군자가 가로되 영고숙은 순수한 효성이다. 그 어머니를 사랑하여 베풂이 장공에게 미쳤다. ▲선림소어고증3. 백(魄)이 황천(黃泉)에 들거늘 무엇이 이 초승(超昇)의 처소인가. ▲오등회원18. 황천(黃泉)에 저점(邸店; 旅人宿)이 없다는데 오늘 밤엔 누구 집에 묵어야 하나.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06쪽 (0) | 2020.01.01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05쪽 (0) | 2020.01.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03쪽 (0) | 2020.01.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01쪽 (0) | 2020.01.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00쪽 (0) | 2020.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