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黃牒】 度牒 ▲虛堂語錄四 官給黃牒 剃度爲僧
황첩(黃牒) 도첩. ▲허당어록4. 관에서 황첩(黃牒)을 급여하여 체도(剃度)하고 승인이 되었다.
) -->
황청(黃菁) ☞ 황정(黃菁).
) -->
【荒草】 指煩惱妄想無明之荒草 ▲續傳燈錄二十六祖鑑從密 開口不是禪 合口不是道 踏步擬進前 全身落荒草 ▲續傳燈錄三十二普慈蘊聞 般若叢林歲歲凋 無明荒草年年長
황초(荒草) 번뇌와 망상, 무명의 황초를 가리킴. ▲속전등록26 조감종밀. 입을 열면 이 선이 아니며 입을 닫으면 이 도가 아니다. 걸음을 디뎌 앞으로 나가려 하면 온몸이 황초(荒草; 거친 풀) 속에 떨어진다. ▲속전등록32 보자온문. 반야의 총림은 세세(歲歲)에 시들고 무명의 황초(荒草)는 연년(年年)에 자라다.
) -->
【黃太史】 指宋代黃龍派居士黃庭堅 太史是官名 黃庭堅曾做太史官 詳見黃庭堅
황태사(黃太史) 송대 황룡파거사 황정견을 가리킴. 태사는 이 벼슬 이름이며 황정견이 일찍이 태사관(太史官)이 되었음. 상세한 것은 황정견(黃庭堅)을 보라.
) -->
【黃布圍身】 黃布 指黃色袈裟 ▲山菴雜錄下 五瘟不打頭自髠 黃布圍身便是僧
황포위신(黃布圍身) 황포는 황색의 가사를 가리킴. ▲산암잡록하. 5온(瘟)에 걸리지 않아도 두발이 저절로 빠지고 황포(黃布)로 몸을 두르니 바로 이 승인이다.
) -->
【皇風】 皇帝的敎化 ▲祖庭事苑四 四海皇風被 千年德水淸
황풍(皇風) 황제의 교화. ▲조정사원4. 사해(四海)가 황풍(皇風)을 입어 천년토록 덕수(德水)가 청정하다.
) -->
【黃河九曲】 黃河有九箇大彎 比喩事情 曲折 複雜 ▲聯燈會要十三浮山法遠 問 大善知識 言無話墮 有出人眼 如何是出人眼 師云 黃河九曲 ▲聯燈會要十四雲峰文悅 僧問 萬法歸一 一歸何所 師云 黃河九曲
황하구곡(黃河九曲) 황하에 9개의 큰 구비(彎)가 있음. 사정(事情)ㆍ곡절(曲折)ㆍ복잡에 비유함. ▲연등회요13 부산법원. 묻되 대선지식은 말씀에 화타(話墮)가 없고 타인을 초출하는 눈이 있습니다. 무엇이 이 사람을 초출하는 눈입니까. 스님이 이르되 황하는 아홉 구비(黃河九曲)다. ▲연등회요14 운봉문열. 중이 묻되 만법은 하나로 돌아가거니와 하나는 어느 곳으로 돌아갑니까. 스님이 이르되 황하는 아홉 구비(黃河九曲)다.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09쪽 (0) | 2020.01.01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08쪽 (0) | 2020.01.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05쪽 (0) | 2020.01.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04쪽 (0) | 2020.01.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03쪽 (0) | 2020.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