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21쪽

태화당 2020. 1. 1. 09:11

回雪手指善舞人 白雲守端錄一 妙舞莫誇回雪手 三臺須是大家催

회설수(回雪手) 춤을 잘 추는 사람을 가리킴. 백운수단록1. 묘무(妙舞)는 회설수(回雪手)를 자랑하지 말지니 삼대(三臺)는 반드시 이 대가라야 재촉한다.

) --> 

懷秀宋代黃龍派僧 弋陽(今屬江西)應氏 初與法秀 同參無爲懷公時 呼法秀爲大秀 師爲小秀 後於黃龍慧南處得法 住潭州大潙山密印禪院 有三關頌 叢林盛傳 [補續高僧傳八 續燈錄十二]

회수(懷秀) 송대 황룡파승. 익양(지금 강서에 속함) 응씨. 처음 법수(法秀)와 무위회공(無爲懷公)을 동참했을 때 법수를 일러 대수(大秀)라 했고 스님은 소수(小秀)라 했음. 후에 황룡혜남(黃龍慧南)의 처소에서 득법했고 담주 대위산 밀인선원에 주()했음. 삼관송(三關頌)이 있어 총림에 성전(盛傳)[보속고승전8. 속등록12].

) --> 

淮水卽淮河 是中國重要的內陸河流之一 歷史上因爲有獨立的入海口 流域廣大 被和長江 黃河 濟水並稱四瀆 [百度百科] 禪林寶訓筆說上 淮水出河南汝寧府 至直隷淮安府入海

회수(淮水) 곧 회하(淮河)니 이는 중국에서 중요한 내륙 하류의 하나니 역사상 독립적으로 바다에 드는 입구가 있음으로 인해 유역이 광대함. 장강ㆍ황하ㆍ제수(濟水)와 병칭하여 사독(四瀆)이라 함을 입음 [백도백과]. 선림보훈필설상. 회수(淮水)는 하남 여녕부(汝寧府)에서 나와 회안부(淮安府)에 바로 예속되었다가 바다에 든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