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841쪽

태화당 2020. 1. 2. 10:11

羲和中國上古神話中的日月女神與時間之神 [百度百科] 大觀語錄 羲和鞭白日 少昊行淸秋

희화(羲和) 중국 상고 신화 중의 일월의 여신과 시간의 신 [백도백과]. 대관어록. 희화(羲和)가 백일(白日)을 채찍질하고 소호(少昊)가 청추(淸秋)를 행한다.

) --> 

羲皇指伏羲 詳見羲軒 列祖提綱錄三十三用彰俊 時時歌堯舜之風 日日樂羲皇之化

희황(羲皇) 복희를 가리킴. 상세한 것은 희헌(羲軒)을 보라. 열조제강록33 용창준. 시시로 요순의 풍속을 노래하고 날마다 희황(羲皇)의 교화를 즐거워한다.

) --> 

羲皇上人伏羲已前人 羲皇卽伏羲 虛堂語錄九 日與羲皇上人 游戲大槐安國

희황상인(羲皇上人) 복희 이전의 사람. 희황은 곧 복희(伏羲). 허당어록9. 날마다 희황상인(羲皇上人)과 더불어 대괴안국(大槐安國)에서 유희(游戲)한다.

) --> 

詰旦淸晨 早晨 祖庭事苑八 禪門詰旦升堂謂之早參 五家正宗贊二白雲端 詰旦 復咨之

힐단(詰旦) 청신(淸晨; 맑은 첫새벽). ()은 이른 새벽. 조정사원8. 선문에서 힐단(詰旦)에 승당함을, 이를 일러 조참(早參)이라 한다. 오가정종찬2 백운단. 힐단(詰旦)에 다시 그것을 물었다.

) --> 

詰論辯論 六祖壇經附錄 至儀鳳元年丙子(676)正月八日 會印宗法師詰論玄奧 印宗悟契師旨

힐론(詰論) 변론. 육조단경부록. 의봉 원년 병자(676) 정월 8일에 이르러 인종법사와 만나 현오(玄奧)를 힐론(詰論)했다. 인종이 스님의 지취를 깨쳐 계합했다.

) --> 

擷芳采摘芳草 頌古聯珠通集五 可惜擷芳人不見

힐방(擷芳) 방초를 채적(采摘). 송고연주통집5. 가석하게도 힐방(擷芳)하는 사람은 보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