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熙怡】 指明初臨濟宗僧至仁 號熙怡叟 詳見至仁 ▲列祖提綱錄六嗣法師忌拈香法語 南石琇禪師 熈怡和尙忌拈香
희이(熙怡) 명초 임제종승 지인을 가리킴. 호가 희이수(熙怡叟)니 상세한 것은 지인(至仁)을 보라. ▲열조제강록6 사법사기염향법어. 남석수선사가 희이화상(熈怡和尙)의 기일에 염향했다.
) -->
【熙怡叟】 元末明初臨濟宗僧至仁的法號 詳見至仁
희이수(熙怡叟) 원말명초 임제종승 지인의 법호니 상세한 것은 지인(至仁)을 보라.
) -->
【喜鵲】 是鳥綱鴉科的一種鳥類 共有十個亞種 ▲五燈會元六同安常察 師聞鵲聲 謂衆曰 喜鵲鳴寒檜 心印是渠傳
희작(喜鵲) 이 새는 강아과(綱鴉科)의 일종 조류니 공히 10개의 아종(亞種; 種을 다시 세분한 생물 분류 단위. 종의 바로 아래)이 있음. ▲오등회원6 동안상찰. 스님이 까치 소리를 듣고 대중에게 일러 가로되 희작(鵲鳴)이 한회(寒檜; 檜는 老松나무. 전나무)에서 우니 심인(心印)은 이 그가 전한다.
) -->
【喜鵲寺】 見鳳林寺
희작사(喜鵲寺) 봉림사를 보라.
) -->
【希祖】 宋代雲門宗僧 號佛印 處州(浙江麗水)周氏 依圓照宗本得法 住睦州廣靈 [續傳燈錄十四]
희조(希祖) 송대 운문종승. 호는 불인이며 처주(절강 여수) 주씨. 원조종본에게 의지해 득법했고 목주 광령에 거주했음 [속전등록14].
) -->
【希肇】 宋代黃龍派僧 居隆興府上藍院 嗣東林常總 [普燈錄六]
희조(希肇) 송대 황룡파승. 융흥부 상람원에 거주했고 동림상총을 이었음 [보등록6].
) -->
【羲之養鵝】 晉書八十 列傳第五十王羲之傳 性愛鵝 會稽有孤居姥養一鵝 善鳴 求市未能得 遂攜親友命駕就觀 姥聞羲之將至 烹以待之 羲之嘆惜彌日 ▲禪門拈頌集第五○五則 介庵朋頌 走却甘贄 打破粥鍋 支遁放鶴 羲之養鵝
희지양아(羲之養鵝) 진서80 열전 제50 왕희지전(王羲之傳). 성품이 거위를 사랑했다. 회계(會稽)에 외롭게 거처하는 할미가 있어 한 마리의 거위를 길렀는데 잘 울었다. 시장에서 구했으나 능히 얻지 못했고 드디어 친우를 데리고 명가(命駕; 사람에게 명해 거마를 부리게 함)하여 나아가 구경하려 했다. 할미가 희지가 장차 이른다 함을 듣고서 삶아서 그를 기다렸다. 희지가 탄식하며 애석해 하기를 여러 날이었다. ▲선문염송집 제505칙. 개암붕이 송하되 감지(甘贄)를 달아나게 했고/ 죽솥을 타파했다/ 지둔은 학을 놓아주었고/ 희지는 거위를 길렀다(羲之養鵝).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841쪽 (0) | 2020.01.02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839-840쪽 (0) | 2020.01.02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836쪽 (0) | 2020.01.02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835쪽 (0) | 2020.01.02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834쪽 (0) | 2020.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