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44쪽

태화당 2019. 4. 30. 08:29

憨山老人夢遊集五十五卷(古本四十卷) 明代僧憨山德淸撰 侍者福善日錄 弟子通尙編輯 劉起相重較 又稱憨山大師夢遊全集 憨山大師全集 憨山夢遊集 夢遊全集 內容輯錄法語 書問 序 記 詩集 著述等 今收錄於卍續藏第一二七冊 嘉興藏第二十二冊爲四十卷之古本 別錄有法語五卷 年譜自敍實錄二卷

감산로인몽유집(憨山老人夢遊集) 55(고본 40). 명대승 감산덕청(憨山德淸)이 지었고 시자 복선일이 기록했고 제자 통상이 편집했고 유기상이 다시 교정했음. 또 명칭이 감산대사몽유전집ㆍ감산대사전집ㆍ감산몽유집ㆍ몽유전집. 내용은 법어ㆍ서문ㆍ서ㆍ기ㆍ시집ㆍ저술 등을 집록했으며 지금 만속장 제127책에 수록되었음. 가흥장 제22책은 40권의 고본(古本)이 됨. 별록으론 법어 5권과 연보ㆍ자서실록 2권이 있음.

 

憨山夢遊集見憨山老人夢遊集

감산몽유집(憨山夢遊集) 감산노인몽유집을 보라.

 

感山雲臥紀談二卷 又稱感山雲臥紀譚 宋代僧仲溫曉瑩著 收於卍續藏第一四八冊 紹興年間(1131-1162) 曉瑩於豐城曲江感山之雲臥菴閒居中 隨筆記錄諸方尊宿之遺言逸跡 士大夫之嘉言懿行 凡可資修行警策 學人龜鑑者悉皆收錄 自富弼頌書 秀紫芝文 東山吉 至蘇軾衲衣 無著道閑 佛慧北邙行 政書記詩等 約九十餘項 卷末竝附雲臥菴主書 記述其師大慧宗杲與學人之機緣問答

감산운와기담(感山雲臥紀談) 2. 또 명칭이 감산운와기담(感山雲臥紀譚). 송대승 중온효영(仲溫曉瑩)이 지었고 만속장 제148책에 수록되었음. 소흥년간(1131-1162) 효영이 풍성 곡강 감산의 운와암에 한거하던 중 붓 따라 제방 존숙의 유언ㆍ뛰어난 행적ㆍ사대부의 아름다운 언어와 훌륭한 행위를 기록했음. 무릇 가히 수행의 경책과 학인의 귀감을 도울 만한 것은 모두 다 수록했음. 부필의 송서ㆍ수자지의 글ㆍ동산길로부터 소식의 납의ㆍ무착도한ㆍ불혜의 북망행ㆍ정서기의 시 등 약90여 항이며 권말에 아울러 운와암주의 서()를 부록하여 그의 스승인 대혜종고와 학인의 기연문답(機緣問答)을 기술(記述)했음.

 

憨山淸明代僧德淸 號憨山 詳見德淸

감산청(憨山淸) 명대승 덕청의 호가 감산. 상세한 것은 덕청(德淸)을 보라.


堪笑可笑 堪 可也 碧巖錄第三十五則 堪笑淸涼多少衆 前三三與後三三

감소(堪笑) 가소(可笑)니 감()은 가(). 벽암록 제35. 가히 우습나니(堪笑) 청량의 다소의 무리여 전삼삼과 후삼삼이다.

 

鑒韶宋代雲門宗僧 泐潭懷澄法嗣 住明州九峰 [五燈會元十五 續傳燈錄五]

감소(鑒韶) 송대 운문종승. 늑담회징의 법사. 명주 구봉에 거주했음 [오등회원15. 속전등록5]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