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三辨相 文中有三 如前次第說三心故
△제3 변상(辨相)이니 문중(文中)에 셋이 있으며 전과 같이 차제로 3심(心)을 설한 연고다.
△初發心內 亦有其三 一明信成就之行 二顯行成發心之相 三歎發心所得功德
△초발심(初發心; 信成就發心) 내에 또한 그 셋이 있으니 1은 신성취(信成就)의 행(行)을 밝힘이며 2는 행(行)을 이루어 발심하는 상(相)을 밝힘이며(顯) 3은 발심하여 얻는 바 공덕을 찬탄(歎)함이다.
信成就發心者 依何等人 修何等行 得信成就 堪能發心 所謂依不定聚衆生 有熏習善根力故 信業果報 能起十善 厭生死苦 欲求無上菩提 得値諸佛 親承供養 修行信心 經一萬劫 信心成就故 諸佛菩薩敎令發心 或以大悲故 能自發心 或因正法欲滅 以護法因緣 能自發心 如是信心成就得發心者 入正定聚 畢竟不退 名住如來種中 正因相應 若有衆生善根微少 久遠已來煩惱深厚 雖値於佛亦得供養 然起人天種子 或起二乘種子 設有求大乘者 根則不定 若進若退 或有供養諸佛未經一萬劫 於中遇緣亦有發心 所謂見佛色相而發其心 或因供養衆僧而發其心 或因二乘之人敎令發心 或學他發心 如是等發心 悉皆不定 遇惡因緣 或便退失墮二乘地
신성취발심(信成就發心)이란 것은 하등(何等; 무엇 등. 어떤 등)의 사람에 의해 하등의 행을 닦아야 신성취(信成就)를 얻어서 감내(堪耐; 堪)해 능히 발심하는가. 이른 바 부정취중생(不定聚衆生)에 의함이니 훈습(熏習)과 선근력(善根力)이 있는 연고로 업과보(業果報)를 신(信)하여 능히 10선(善)을 일으키고 생사고를 싫어하여 무상보리(無上菩提)를 욕구(欲求)하고 제불을 득치(得値; 만남을 얻음)하여 친히 받들어(承) 공양하고 신심(信心)을 수행하되 1만 겁을 경과해야 신심을 성취하는 연고다. 제불보살(諸佛菩薩)이 가르쳐 발심하게 하며 혹은 대비(大悲)를 쓰는(以) 연고로 능히 스스로 발심하며 혹은 정법(正法)이 멸하려고 함으로 인해 호법의 인연으로써 능히 스스로 발심하나니 이와 같이 신심을 성취하여 발심을 얻는 자는 정정취(正定聚)에 들어 필경 불퇴(不退)하리니 이름이 여래종(如來種) 가운데 머물면서 정인(正因)으로 상응함이다. 혹(若) 어떤 중생은 선근이 미소(微少)하고 구원이래(久遠已來)로 번뇌가 심후(深厚)하여 비록 불타를 만나고(値) 또한 공양함을 얻더라도 그러나 인천(人天; 人과 天)의 종자(種子)를 일으키거나 혹은 2승(乘)의 종자를 일으킨다. 설사 대승을 구하는 자가 있더라도 근기(根)가 곧 부정(不定)이라 나아가기도 하고 물러나기도(若進若退) 하며 혹은 제불을 공양함이 있으되 1만 겁을 경과하지 않고서도 이 중에 연(緣)을 만나 또한 발심함이 있나니 이른 바 불타의 색상(色相)을 보고 그 마음을 발하기도 하며 혹은 중승(衆僧)을 공양함으로 인해 그 마음을 발하기도 하며 혹은 2승(乘)의 사람이 가르쳐 발심하게 함을 인하기도 하며 혹은 남에게 배워 발심하기도 하나니 이와 같은 등의 발심은 모두 다 부정(不定)이라서 악인연(惡因緣)을 만나면 혹 바로(便) 퇴실(退失)하여 이승지(二乘地)에 떨어진다.
初中亦二 先問 後答 問中言依何等人者 是問能修之人 修何等行者 問其所修之行 得信成就堪能發心者 對發心果 問其行成也 答中有二 一者正答所問 二者擧劣顯勝 正答之內 對前三問 初言依不定聚衆生者 是答初問 顯能修人 分別三聚 乃有多門 今此文中 直明菩薩十解以上 決定不退 名正定聚 未入十信 不信因果 名邪定聚 此二中間 趣道之人 發心欲求無上菩提 而心未決或進或退 是謂十信 名不定聚 今依此人明所修行也 有熏習以下 次答第二問 明不定人所修之行 言有熏習善根力者 依如來藏內熏習力 復依前世修善根力 故今得修信心等行也 言信業果報能起十善者 起福分善也 厭生死苦求無上道者 發道分心也 得値諸佛修行信心者 正明所修道分善根 所謂修行十種信心 其相具如一道章說也 逕一萬劫以下 答第三問 明其信心成就之相 於中有二 一者擧時 以明信成發心之緣 二者約聚 顯其發心所住之位 初中言至一萬劫信心成就者 謂於十信逕十千劫 信心成就 卽入十住 如本業經云 是信想菩薩 於十千劫行十戒法 當入十住心 入初住位 解云 此中所入初住位者 謂十住初發心住位 此位方得不退信心 是故亦名信入十心 非謂十解以前十信 何以得知而其然者 如仁王經云 習種姓有十心 已超二乘一切善地 此習忍已前行十善菩薩 有退有進 猶如輕毛隨風東西 雖以十千劫行十正道 發菩提心 乃當入習忍位 以是文證 故得知也 經言十千 卽此一萬也 言佛菩薩敎令發心等者 發心之緣 乃有衆多 今略出其三種勝緣也 如是以下 顯其發心所住之位 言信心成就乃至入正定聚者 卽入十解初發心住 以之故言畢竟不退也 卽時正在習種性位 故言名住如來種中也 其所修行隨順佛性 是故亦言正因相應 上來正答前三問竟 若有以下 擧劣顯勝 十信位內 有勝有劣 勝者如前進入十住 劣者如此退墮二乘地 如攝大乘論云 諸菩薩在十信位中 修大乘未堅固 多厭怖生死 慈悲衆生心猶劣薄 喜欲捨大乘本願 修小乘道 故言欲修行小乘 大意如是 文相可知 上來明信成之行
초중(初中)에 또한 둘이니 선(先)은 문(問)이며 후(後)는 답이다. 문중(問中)에 말한 하등(何等)의 사람에 의함이란 것은 이는 능수지인(能修之人)을 물음이며 하등의 행을 닦음이란 것은 그 소수지행(所修之行)을 물음이며 신성취(信成就)를 얻어서 감내(堪耐; 堪)해 능히 발심함이란 것은 발심의 과(果)에 대해 그 행을 이룸(行成)을 물음이다. 답중에 둘이 있으니 1자는 물은 바에 바로(正) 답함이며 2자는 열등함을 들어 수승함을 나타냄이다(擧劣顯勝). 바로 답한 내에 앞 3문(問)에 대(對)함이다. 초(初)에 말한 부정취중생(不定聚衆生)에 의함이란 것은 이는 초문(初問)에 답함이니 능수인(能修人)을 밝혔다(顯). 3취(聚)를 분별하자면 이에 다문(多門)이 있거니와 여금의 이 문중(文中)에선 바로 밝히되(直明) 보살의 10해(解) 이상은 결정코 불퇴(不退)니 이름이 정정취(正定聚)며 10신(信)에 들지 못해 인과를 불신함은 이름이 사정취(邪定聚)며 이 두 중간에 취도(趣道)하는 사람이 발심해 무상보리(無上菩提)를 욕구(欲求)하되 마음이 미결(未決)하여 혹진혹퇴(或進或退)함을 이를 일컬어 10(信)이며 이름이 부정취(不定聚)니 여금에 이 사람에 의해 닦을 바의 행을 밝힘이다. 유훈습(有熏習) 이하는 차(次) 제2문에 답함이니 부정인(不定人)이 닦을 바의 행을 밝힘이다. 말한 훈습(熏習)과 선근력(善根力)이 있다는 것은 여래장 내의 훈습력에 의함과 다시 전세(前世)에 선근을 닦은 힘에 의함인지라 고로 여금에 신심(信心) 등의 행을 닦음을 얻음이다. 말한 업과보(業果報)를 신(信)하여 능히 10선(善)을 일으킨다는 것은 복분(福分)의 선(善)을 일으킴이다. 생사고를 싫어하여 무상도(無上道)를 구한다는 것은 도분(道分)의 심(心)을 발함이다. 제불을 득치(得値; 만남을 얻음)하여 신심을 수행한다는 것은 소수(所修)의 도분(道分)의 선근(善根)을 바로(正) 밝힘이니 이른 바 10종의 신심(信心)을 수행함이며 그 상(相)의 구족(具)은 일도장(一道章; 元曉 著)의 설과 같다. 1만 겁을 지내야(逕) 이하는 제3문에 답함이니 그 신심을 성취한 상(相)을 밝힘이다. 이 중에 둘이 있으니 1자는 거시(擧時)하여 신(信)을 이루어 발심하는 연(緣)을 밝혔기 때문이며 2자는 약취(約聚)니 그 발심이 머무는 바의 위(位)를 밝혔다(顯). 초중에 말한 1만 겁에 이르러야 신심을 성취한다는 것은 이르자면 10신(信)에서 10천 겁을 지나야(逕) 신심을 성취하여 10주(住)에 즉입(卽入)함이다. 예컨대(如) 본업경(本業經; 卷下)에 이르되 이 신상보살(信想菩薩)이 10천 겁에 10계법(戒法)을 행해야 마땅히 10주심(住心)에 들어 초주위(初住位)에 든다. 해석해 이르되 이 중에 드는 바 초주위(初住位)란 것은 이르자면 10주(住)의 초발심주위(初發心住位)니 이 위(位)라야 비로소 불퇴(不退)의 신심을 얻는지라 이런 고로 또한 이름이 신(信)이 10심(心)에 입(入)함이라 함이며 10해(解) 이전의 10신(信)을 일컬음이 아니다. 무슨 까닭(何以)으로 그것이 그러한 줄 득지(得知)하는가, 예컨대(如) 인왕경(仁王經; 卷下)에 이르되 습종성(習種姓)이 10심(心)이 있으니 이미 2승(乘)의 일체의 선지(善地)를 초과했거니와 이 습인(習忍; 習種性) 이전(已前)에 10선(善)을 행하는 보살은 유퇴유진(有退有進)함이 마치 경모(輕毛)가 바람 따라 동서(東西; 동서로 움직임)임과 같아서 비록 10천 겁을 써서(以) 10정도(正道)를 행하더라도 보리심을 발해야 이에 마땅히 습인위(習忍位)에 든다. 이 글로써 증명하는지라 고로 득지(得知)한다. 경에 말한 10천은 곧 이(此) 1만이다. 말한 불보살이 가르쳐 발심하게 한다는 등은 발심지연(發心之緣)이 이에 중다(衆多)함이 있으되 여금에 그 3종의 승연(勝緣)을 약출(略出)함이다. 이와 같이(如是) 이하는 그 발심이 머무는 바의 위(位)를 밝혔으며(顯) 말한 신심을 성취하여 내지 정정취(正定聚)에 든다는 것은 10해(解)의 초발심주(初發心住)에 즉입(卽入)함이니 이런 연고로써(以之故) 말하되 필경 불퇴(不退)라 했으며 즉시(卽時) 바로(正) 습종성위(習種性位)에 있음인지라 고로 말하되 이름이 여래종(如來種) 가운데 머묾이다. 그 닦는 바 행이 불성(佛性)을 수순(隨順)하는지라 이런 고로 또한 말하되 정인(正因)으로 상응한다. 상래(上來)에 앞 3문(問)에 바로(正) 답함을 마쳤다. 약유(若有; 혹 어떤) 이하는 열등함을 들어 수승(殊勝)함을 나타냄이다(擧劣顯勝). 10신위(信位) 안에 수승함도 있고 열등함도 있나니(有勝有劣) 수승한 자는 앞과 같이 10주(住)에 진입함이며 열등한 자는 이와 같이 이승지(二乘地)에 퇴타(退墮)한다. 예컨대(如) 섭대승론(攝大乘論)에 이르되 제보살이 10신위(信位) 중에 있으면서 대승(大乘)을 닦되 견고하지 못하면 다분히 생사를 염포(厭怖)하고 중생을 자비(慈悲)하는 마음이 오히려 열박(劣薄)하므로 대승의 본원(本願)을 버리고 소승도(小乘道)를 닦음을 희욕(喜欲)하는지라 고로 말하되 소승을 수행하려고 한다 하였다. 대의(大意)는 이와 같으니 문상(文相)을 가히 알 것이다. 상래(上來)에 신을 이루는 행(信成之行)을 밝혔다.
●정정취(正定聚); 3취(聚)의 하나. 또 정성정취(正性定聚)로 지음. 정정(正定)은 중생 중에 반드시 꼭(定) 증오(證悟)할 자를 가리킴. 구사론10의 기재에 의하면 견도(見道) 이상의 성자가 등혹(等惑)을 끊어 없애고 필경 불퇴의 이계득(離繫得)을 획득하여 정성(正性)의 열반택멸(涅槃擇滅) 중에 안정(安定)하므로 고로 명칭이 정정(正定)임. 또 보살 계위(階位)에 10신(信) 이상에 있는 자는 또한 명칭이 정정임.
●부정취(不定聚); 부정성취(不定性聚)와 같음. 3취의 하나. 이 성(性)은 혹 가히 사(邪)가 되고 혹 가히 정(正)이 되어 일정한 취향이 없는지라 고로 이름이 부정성취임. 모든 성인은 이름이 정성정취(正性定聚)며 5무간업을 짓는 자는 이름이 정성사취(定性邪聚)며 범부는 이 부정성취(不定性聚)임.
●습종성(習種姓); 대승의장9(大乘義章九) 습종성이란 것은 인(因)을 좇아 이름을 삼았다. 방편의 행덕(行德)이 본래 없다가 여금에 있나니 습(習)을 좇아 나는지라 고로 이름하여 습(習)이며 습이 행덕(行德)을 이루어 능히 진과(眞果)를 내는지라 고로 이름이 습종이다(習種性者從因爲名 方便行德本無今有 從習而生 故名爲習 習成行德能生眞果 故名習種).
●불성(佛性); 불(佛)이란 것은 각오(覺悟)임. 일체중생이 모두 각오의 성이 있음을 이름해 불성임. 성(性)이란 것은 불개(不改)의 뜻이니 인과에 통하되 자체를 고치지 않나니 이를 이르되 성임.
●섭대승론(攝大乘論)에 이르되; 이 글은 섭대승론석15(攝大乘論釋十五)에 나오며 대동소이함.
'기신론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신론소기회본(起信論疏記會本) 88 (0) | 2020.09.20 |
---|---|
기신론소기회본(起信論疏記會本) 87 (0) | 2020.09.20 |
기신론소기회본(起信論疏記會本) 85 (0) | 2020.09.20 |
기신론소기회본(起信論疏記會本) 84 (0) | 2020.09.20 |
기신론소기회본(起信論疏記會本) 83 (0) | 2020.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