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次) 성위(聖位)를 밝힘이니 또한 셋으로 나눈다. 1은 견도(見道. 初果)며 2는 수도(修道. 二三果)며 3은 무학도(無學道. 四果)다. 1. 수다원(*須陀洹) 여기에서 번역하면 예류(預流)다. 차위(此位)는 3계(界)의 8십8사(八十八使)의 견혹(見惑)을 끊고 진제(眞諦)를 보는 연고로 이름하여 견도(見道)니 또 이름이 성위(聖位)다. 2. 사다함(*斯陀含) 여기에선 이르되 일패(一來)다. 차위(此位)는 욕계(欲界)의 9품 사(思; 思惑) 중 앞의 6품을 단절해 없애지만 뒤의 3품은 오히려 있는지라 고로 다시 일래(一來)한다. 3. 아나함(*阿那含) 여기에선 이르되 불래(不來)다. 차위(此位)는 단욕(斷欲)하여 잔사(殘思)를 없애고 나아가 상(上)의 8지사(八地思)를 단절한다. 4. 아라한(*阿羅漢) 여기에선 이르되 무학(無學)이며 또 이르되 무생(無生)이며 또 이르되 살적(殺賊)이며 또 이르되 응공(應供)이다. 차위(此位)는 견사(見思)를 단절해 모두 없애 자박(子縳)은 이미 단절되었으나 과박(果縛)이 오히려 있으므로 이름이 유여열반(*有餘涅槃)이다. 만약 회신멸지(*灰身滅智)하면 이름이 무여열반(*無餘涅槃)이며 또 이름이 고조해탈(*孤調解脫)이다. 성문위(聲聞位)를 약명( 略明)함을 마쳤다.
'천태사교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태사교의(天台四敎儀) 55 (0) | 2020.10.12 |
---|---|
천태사교의(天台四敎儀) 54 (0) | 2020.10.12 |
천태사교의(天台四敎儀) 52 (0) | 2020.10.12 |
천태사교의(天台四敎儀) 51 (0) | 2020.10.12 |
천태사교의(天台四敎儀) 50 (0) | 2020.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