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52쪽

태화당 2019. 4. 30. 11:36

減竈之術語出史記孫子吳起列傳 戰國時期 韓國受到魏國的攻擊向齊國求救 齊王派田忌爲大將 孫臏爲軍師 率軍進攻魏國都城大梁 魏軍主帥龐涓急忙撤軍救援 孫臏得知師兄龐涓撤軍 就建議田忌采用減計來麻痹魏軍 龐涓狂妄自大而輕敵 進入孫臏的包圍圈被逼自殺 [百度百科] 減竈法 祖庭事苑五 按本傳 孫賓 孫武子後 善兵法 設減竈之術 敗龐涓於馬陵(見史記六十五)

감조지술(減竈之術) 말이 사기 손자오기열전(孫子吳起列傳)에 나옴. 전국시기 한국(韓國)이 위국(魏國)의 공격을 받아 제국(齊國)을 향해 구원을 구하자 제왕이 전기(田忌)를 파견해 대장으로 삼고 손빈(孫臏)을 군사(軍師)로 삼았음. 군대를 인솔해 위국의 도성 대량(大梁)으로 진공하자 위군의 주수(主帥; 최고의 장수)인 방연(龐涓)이 급히 도망하며 철군해 구원하려 했음. 손빈이 사형인 방연이 철군함을 득지(得知)하고 곧 전기에게 건의해 감조(減竈)의 계책을 채용해 위군을 마비케 했음. 방연이 광망자대(狂妄自大; 극단적으로 自高自大)하여 적을 가볍게 여기고 손빈의 포위권에 진입하였고 핍박을 입어 자살했음 [백도백과]. 감조법을 참조하라. 조정사원5. 본전(本傳)을 안험하니 손빈(孫賓)은 손무자(孫武子)의 후손이며 병법을 잘했음. 감조지술(減竈之術)을 베풀어 방연을 마릉에서 패하게 했음(사기65를 보라).

) --> 

鑒宗(793-866) 唐代僧 俗姓錢 湖州(今屬浙江)人 依本州開元寺大德高閑出家 後往謁鹽官齊安 隨衆參請 頓徹心源 歸鄕里 勸人營福 咸通三年(862) 止徑山 僧侶雲集 聲譽遠著 卒諡無上禪師 [宋高僧傳十二 西天目山志二]

감종(鑒宗) (793-866) 당대승. 속성은 전이며 호주(지금 절강에 속함) 사람. 본주의 개원사 대덕인 고한에게 의지해 출가했으며 후에 가서 염관제안(鹽官齊安)을 알현하고 대중 따라 참청했으며 심원(心源)을 돈철(頓徹; 문득 통함)했음. 향리로 돌아가 사람들에게 영복(營福; 복을 지음)을 권했음. 함통 3(862) 경산에 머물자 승려가 운집했고 성예(聲譽)가 멀리 나타났음. 죽어서의 시호는 무상선사 [송고승전12. 서천목산지2]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