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甘贄行者】 唐代居士 嗣南泉普願 行者 此指在家修行佛道者 [五燈會元四 大光明藏中 傳燈錄十]
감지행자(甘贄行者) 당대 거사. 남천보원(南泉普願)을 이었음. 행자는 여기에선 재가하면서 불도를 수행하는 자를 가리킴 [오등회원4. 대광명장중. 전등록10].
【鑒眞禪師】 五代僧師鼐 署號鑒眞禪師 詳見師鼐
감진선사(鑒眞禪師) 5대승 사내의 서호가 감진선사니 상세한 것은 사내(師鼐)를 보라.
【監察御史】 官名 隋開皇二年(582)始設 改檢校御史爲監察御史 唐御史臺分爲三院 監察御史屬察院 品秩不高而權限廣 宋元明淸因之 明淸廢御史臺設都察院 通常彈劾與建言 設都御史 副都御史 監察御史 監察御史分道負責 因而分別冠以某某道地名 [百度百科] ▲臨濟慧照玄公大宗師語錄序 大德二年(1298)八月 前監察御史郭天錫焚香九拜書
감찰어사(監察御史) 관직의 이름. 수 개황 2년(582) 처음 설치하고 검교어사를 고쳐 감찰어사로 삼았음. 당은 어사대를 나누어 3원(院)으로 만들었으며 감찰어사는 찰원에 소속했고 품질(品秩)은 높지 않았으나 권한은 넓었음. 송ㆍ원ㆍ명ㆍ청은 이를 따랐음. 명ㆍ청은 어사대를 폐하고 도찰원을 설립했는데 통상 탄핵과 더불어 건언(建言; 건의)했으며 도어사ㆍ부도어사ㆍ감찰어사를 설치했음. 감찰어사는 도(道)를 나누어 책임을 부담했으며 인하여 모모도(某某道)의 지명으로써 관(冠)을 분별했음 [백도백과]. ▲임제혜조현공대종사어록서. 대덕 2년(1298) 8월 전감찰어사(前監察御史) 곽천석이 분향하고 9배(拜)하고 서(書)하다.
【勘嘖】 勘驗 責問 ▲祖堂集五道吾 主事又向和尙曰 比來昨日無端打鼓 要伊堪嘖 爲什摩却打他童子頭 師曰 我與你勘嘖了也
감책(勘嘖) 감험. 책문. ▲조당집5 도오. 주사(主事)가 또 화상을 향해 가로되 비래(比來; 요즈음)인 어제 무단히 북을 친 것은 그의 감책(堪嘖)을 요함이거늘 무엇 때문에 도리어 저 동자의 머리를 때렸습니까. 스님이 가로되 내가 너를 위해(與) 감책해 마쳤다.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56쪽 (0) | 2019.04.30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55쪽 (0) | 2019.04.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53쪽 (0) | 2019.04.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52쪽 (0) | 2019.04.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51쪽 (0) | 2019.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