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坎中滿】 指八卦中坎卦(☵)的卦象 參八卦 ▲空谷集第六十一則 釣人依水 樵夫依山 而不委艮覆椀 坎中滿 童蒙之爻象 動靜之緣由
감중만(坎中滿) 8괘 중의 감괘(坎卦; ☵)의 괘상을 가리킴. 팔괘를 참조하라. ▲공곡집 제61칙. 낚시꾼은 물에 의지하고 나무꾼은 산에 의지하면서 간복완(艮覆椀)과 감중만(坎中滿)의 동몽(童蒙)의 효상(爻象)과 동정(動靜)의 연유를 알지 못한다.
【甘贄】 甘贄行者 ▲五燈會元二十李浩居士 門有孫臏鋪 家存甘贄妻
감지(甘贄) 감지행자. ▲오등회원20 이호거사. 문에 손빈의 점포가 있고 집에 감지(甘贄)의 처를 두었다.
【鑑智】 三祖僧璨諡號 唐玄宗諡鑑智禪師覺寂之塔 [傳燈錄三]. ▲禪燈世譜二 香至王子初入中國 諡曰圓覺 圓覺傳大祖 大祖傳鑑智 鑑智傳大醫 大醫傳大滿 大滿傳大鑒 大鑒藏衣 傳法而已
감지(鑑智) 3조 승찬의 시호. 당 현종이 감지선사각적지탑으로 시호했음 [전등록3]. ▲선등세보2. 향지왕자가 처음 중국에 들어왔다. 시호하여 가로되 원각이며 원각이 대조에게 전했고 대조는 감지(鑑智)에게 전했고 감지는 대의에게 전했고 대의는 대만에게 전했고 대만은 대감에게 전했다. 대감은 옷을 숨기고 법을 전했을 따름이다.
【鑑智禪師】 中國禪宗第三祖僧璨 唐玄宗諡鑑智禪師 詳見僧璨
감지선사(鑑智禪師) 중국 선종 제3조 승찬이니 당 현종이 감지선사로 시호했음. 상세한 것은 승찬(僧璨)을 보라.
【甘贄設粥】 禪苑蒙求上 甘贄設粥 (南泉弟子 傳燈十)池州甘贄行者入寺設粥 仍請南泉念誦 泉乃白槌曰 請大衆爲狸奴白牯念摩訶般若波羅蜜多 甘拂袖便出 南泉粥後問典座 行者在甚麽處 座曰 當時便去也 泉便打破鍋子
감지설죽(甘贄設粥) 선원몽구상. 감지설죽(甘贄設粥) (남천의 제자 전등10) 지주 감지행자가 절에 들어가 죽을 베풀고는 인하여 남천에게 염송을 청했다. 남천이 이에 백추(白槌)하고 가로되 대중에게 청하노니 이노백고(狸奴白牯)를 위해 마하반야바라밀을 염송하라. 감지가 소매를 떨치고 나갔다. 남천이 죽을 먹은 후 전좌에게 묻되 행자가 어느 곳에 있는가. 전좌가 가로되 당시에 바로 갔습니다. 남천이 곧 과자(鍋子; 노구솥)를 타파했다.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55쪽 (0) | 2019.04.30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54쪽 (0) | 2019.04.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52쪽 (0) | 2019.04.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51쪽 (0) | 2019.04.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50쪽 (0) | 2019.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