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문염송집주(5권)

선문염송집 권2 제43칙

태화당 2021. 9. 10. 08:05

四三涅槃經云 吾教意 如*摩醯首羅劈開*面門 *竪亞一隻眼

 

蔣山元擧此話 乃竪起拄杖云 這箇是拄杖子 *阿那箇是眼 看看 一切世界**非情 盡在拄杖頭上 猶如萬里晴空一點雲翳 諸人還見麽 若也見去 未免翳了諸人眼 若也不見 諸人眼裏有翳 如何卽是 山僧爲你點却 卓拄杖云 瞎了也

 

第四二則; 此話亦是巖頭語 傳燈錄十六巖頭全豁 吾敎意 如摩醯首羅劈開面門 竪亞一隻眼 此是第二段意

摩醯首羅; <> Maheśvara 此云大自在 摩醯首羅天(大自在天)也 具有三眼 其中頂門豎立一眼 超於常人兩眼 具有以智慧徹照一切事理之特殊眼力 故稱頂門眼 後用來比喩卓越之見解 華嚴經探玄記二 摩醯首羅者 依智論 此云大自在天 有八臂三眼 騎大白牛 知大千界雨渧數 以於大千界中 最極自在 更無過故立名也

面門; 面部 華嚴經探玄記三 面門者 諸德有三釋 一云是口 一云是面之正容非別口也 光統師云 鼻下口上中間是也

華嚴經探玄記三 面門者 諸德有三釋 一云是口 一云是面之正容非別口也 光統師云 鼻下口上中間是也

竪亞; 竪配也 亞 配也 也作壓

阿那箇; 阿 助詞

; 指有情

非情; 指草木山河大地土石等無情識者 又作非有情 無情 有情之對稱

 

四三열반경에 이르되 나의 교의(敎意)는 마혜수리(*摩醯首羅)가 면문(*面門)을 벽개(劈開)하여 한 짝의 눈을 수압(*竪亞; 세로로 배치함)함과 같다.

 

장산원(蔣山元)이 차화(此話)를 들고는 이에 주장자를 세워 일으키고 이르되 이것(這箇)은 이 주장자다. 어느 것(*阿那箇)이 이 눈인가. 보아라 보아라, 일체 세계의 정(*)과 비정(*非情)이 모두 주장두상(拄杖頭上)에 있나니 오히려 만 리 청공(晴空)에 한 점 운예(雲翳; 는 가릴 예)와 같다. 제인이 도리어 보느냐, 만약에 본다면(는 조사) 제인의 눈을 가려버림을 면하지 못하며 만약에 보지 못한다면 제인의 눈 속에 예()가 있음이니 어찌해야 곧 옳으냐. 산승이 너희를 위해 점 찍어버리겠다. 주장자를 치고() 이르되 눈 멀어버렸다.

 

第四二則; 차화도 역시 암두어(巖頭語). 전등록16 암두전활(巖頭全豁). 나의 교의(敎意)는 마혜수리(摩醯首羅)가 면문(面門)을 벽개(劈開)하여 한 짝의 눈을 수압(竪亞; 세로로 배치함)함과 같나니 이것이 이 제2(第二段)의 뜻이다.

摩醯首羅; <> Maheśvara. 여기에선 이르되 대자재(大自在)니 마혜수라천(대자재천). 세 눈을 갖추어 있는데 그 중 정문(頂門; 정수리)에 한 눈이 수립(豎立; 똑바로 서다)했는데 보통 사람의 두 눈을 초월함. 지혜로 일체의 사리를 철조(徹照)하는 특수한 안력을 갖추고 있는지라 고로 호칭이 정문안(頂門眼). 후에 써서 탁월한 견해에 비유했음. 화엄경탐현기(華嚴經探玄記; 二十卷 唐 法藏述) 2. 마혜수라란 것은 지론에 의거하자면 여기에선 이르되 대자재천이다. 여덟 개의 팔과 세 개의 눈을 가졌으며 대백우(大白牛)를 탄다. 대천계의 빗방울 수를 안다. 대천계 중에 가장 극히 자재하여 다시 초과하는 게 없는 고로 이름을 세웠다.

面門; 얼굴 부위. 화엄경탐현기3. 면문이란 것은 여러 숙덕이 세 해석이 있다. 1은 이르되 입이다. 1은 이르되 이 얼굴의 정용(正容)이며 다른 입이 아니다. 광통사(光統師; 광통율사가 이르되 코 아래와 입 위의 중간이 이것이다.

竪亞; 세로로 배치함임. ()은 배(). 또 압()으로 지음.

阿那箇; ()는 조사.

; 유정(有情)을 가리킴.

非情; 초목ㆍ산하ㆍ대지ㆍ토석 등 정식(情識)이 없는 것을 가리킴. 또 비유정(非有情)ㆍ무정으로 지음. 유정(有情)의 대칭.

 

선문염송집주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선문염송집주

불교신문 광고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60만 ...

blog.naver.com

 

'선문염송집주(5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문염송집 권2 제45칙  (0) 2021.09.10
선문염송집 권2 제44칙  (0) 2021.09.10
선문염송집 권2 제42칙  (0) 2021.09.10
선문염송집 권2 제41칙  (0) 2021.09.10
선문염송집 권2 제40칙(한글)  (0) 2021.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