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一三七】忠國師因僧問 如何是一念相應 師曰 憶智俱忘 卽是相應 僧曰 憶智俱忘 誰見諸佛 師曰 忘卽無 無卽佛 僧曰 無卽言無 何得喚作佛 師曰 無亦空 佛亦空 故曰無卽佛 佛卽無
心聞賁頌 竿頭崖頭撒手去 *朗州*澧州尋路歸 *廉纖脫盡全機路 *八角磨盤空裏飛
●第一三七則; 此話出傳燈錄二十八
●朗州; 隋改嵩州置朗州 治武陵 卽今湖南省常德市 [百度百科]
●澧州; 今湖南澧縣 隸屬於湖南省常德市 因澧水貫穿全境而得名 梁敬帝紹泰元年(555) 始置澧州 [百度百科]
●廉纖; 卽綿密而微細之義 意卽師家接化學人之方法 親切而微細綿密
●八角磨盤; 磨者石磨也 盤者磨之座也 以板造之 或爲團圝 或作八角 八角者必因磨目之數有八故也 [碧巖錄第四十七則不二鈔]
【一三七】 충국사가, 중이 묻되 무엇이 이 일념이 상응함입니까 함으로 인해 국사가 가로되 억지(憶智; 憶과 智)를 모두 잊어야 곧 이 상응이다. 중이 가로되 억지를 모두 잊으면 누가 제불을 봅니까. 국사가 가로되 잊음이 곧 없음이며 없음이 곧 불(佛)이다. 중이 가로되 없음을 곧 불이라고 말할진대 어찌 불이라고 불러 지음을 얻겠습니까. 국사가 가로되 없음도 또한 공(空)이며 불도 또한 공이니 고로 가로되 없음이 곧 불이며 불도 곧 없다.
심문분(心聞賁)이 송하되 간두(竿頭. 장대 끝)와 애두(崖頭; 벼랑 끝)에서 손을 놓고 가면서/ 낭주(*朗州)와 예주(*澧州)에서 길을 찾아 귀환한다/ 염섬(*廉纖)을 벗어 없애 기로(機路)가 온전하니/ 팔각마반(*八角磨盤; 8각의 맷돌)이 허공 속에 난다(飛).
●第一三七則; 차화는 전등록28에 나옴.
●朗州; 수(隋)가 숭주(嵩州)를 고쳐 낭주를 설치했으며 치소(治所)는 무릉이니 즉금의 호남성 상덕시 [백도백과].
●澧州; 지금의 호남 예현(澧縣)이니 호남성 상덕시(常德市)에 예속됨. 예수(澧水)가 전경(全境)을 관천(貫穿)함으로 인해 이름을 얻었음. 양 경제 소태 원년(555) 처음으로 예주를 설치했음 [백도백과].
●廉纖; 곧 면밀하여 미세함의 뜻. 뜻으로는 곧 사가(師家)가 학인을 접화(接化)하는 방법이 친절하면서도 미세하고 면밀함임.
●八角磨盤; 마(磨)란 것은 석마(石磨; 맷돌)며 반(盤)은 마(磨)의 좌(座)니 판(板)으로 그것을 만들며 혹 단란(團圝; 둥긂)하거나 혹 팔각으로 만듦. 팔각이란 것은 반드시 마목(磨目)의 수가 여덟이 있음을 인한 연고임 [벽암록47칙 불이초].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불교신문 광고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60만 ...
blog.naver.com
'선문염송집주(5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문염송집 권4 제139칙 (0) | 2021.10.05 |
---|---|
선문염송집 권4 제138칙 (0) | 2021.10.04 |
선문염송집 권4 제136칙 (0) | 2021.10.04 |
선문염송집 권4 제135칙 (0) | 2021.10.04 |
선문염송집 권4 제134칙 (0) | 2021.10.04 |